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계음식48

차茶의 나라 중국에서 만나는 명차名茶 차나무와 차茶중국 남서부 윈난성, 쓰촨성, 구이저우성, 아쌈 지방의 산악지대에 자라는 차나무는 얼핏 보면 평범한 나무입니다. 하지만 차나무의 이파리는 특유의 그윽하고 은은한 향이 있어 아주 오래 전 쓰촨성 일대의 중국인에게 주목을 받았습니다. 중국 토양은 황토이고 지반은 석회암이었기에 중국의 지하수와 강은 황토와 석회수에 뒤덮혀 오염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물을 그냥 먹으면 냄새도 심하고 입 안으로 황토와 석회 침전물이 들어왔습니다.때문에 중국인들은 문명 초창기부터 물을 끓여 침전물을 아래로 가라앉힌 후 윗부분의 물만 떠서 마셨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작은 흙알갱이는 위에 여전히 남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때 찻잎을 함께 넣고 끓이면 찻잎이 작은 흙알갱이와 석회 불순물 등을 함께 아래로 침전시키는.. 2025. 2. 13.
동유럽에서 보드카와 함께 즐기는 안주 춥디 추운 슬라브 문화권 동유럽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이 나라는 동유럽 평원에 위치한 슬라브 민족 국가입니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그들이 살고 있는 땅은 겨울이면 유럽에서 유독 춥기로 악명이 높죠. 특히 시베리아나 북해 해안가 쪽으로 갈수록 추위가 극심해집니다. 그래서 슬라브 사람들은 겨울이 오면 강한 추위와 싸워야 하는 처지이죠.그러다보니 슬라브인들은 살기위해 겨울에 몸을 어떻게든 따뜻하게 할 방법을 찾았어요. 북해나 시베리아에서 수증기를 왕창 머금은 차가운 공기가 자비없는 칼바람을 부르며 온세상을 하얗게 얼리는 환경에서 동상에 걸리지 않고 몸을 따뜻하게 할 방법을 찾아다녔죠. 때문에 카페인 함량이 높아 몸을 각성하는 홍차, 따뜻한 국물에 여러 먹거리를 넣어 뜨겁게 먹.. 2025. 2. 6.
나라 별 설날에 먹는 음식 동북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명절옛날에 한자를 쓰던 동북아시아 한자문화권은 한자로 글을 쓰고 서로 소통했으며 기후도 비슷해 문화가 비슷했습니다. 게다가 쌀농사가 주류 산업이었다는 점도 동일했죠. 때문에 한자문화권에서는 농사를 기준으로 계절과 달을 나눴으며 이에 따라 축제와 명절도 정했습니다. 달의 공전을 측정해 세운 음력 달력을 기준으로 1월 1일을 새해 축제일, 8월 15일을 추수 축하일로 나눈 것이 그 예이죠.음력 1월 1일은 나라 별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지만 모두 성대한 명절로 지정해 즐겼습니다. 이 시기가 새해 농사를 시작할 날이었기 때문이었죠. 그래서 아주 오래 전부터 1월 1일을 성대하게 축하하던 문화가 생겼고 그게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답니다. 중국, 베트남, 한국, 일본에 그런 문화가 오랫동안 .. 2025. 1. 30.
뉴질랜드의 명물 아이스크림, 호키포키 영미권의 달고나, Honeycomb toffee한국에는 설탕에 베이킹소다를 섞은 후, 불에 구우며 막대로 저어 만드는 달고나가 있습니다. 한국의 달고나는 달달 씁쓸한 맛 덕분에 어린이는 물론이고 성인도 좋아하는 한국 대표 간식거리이죠. 달고나는 그냥 먹으면 바삭하게 부셔지고 혀에 착 달라붙은 후 빠르게 녹아 깊은 달달한 맛이 입안을 맴도는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거기에 막 완성된 달고나의 겉면이 좀 식으면 각종 모양 누르개로 눌러 여러 모양을 만들고, 이를 뜯어 먹는 재미가 있죠.최근에는 넷플릭스의 독점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오징어 게임 속에 나온 달고나가 전세계에 큰 유행을 탔죠. 마침 그 때 코로나 시기여서 전세계 사람들이 설탕과 베이킹 소다로 달고나를 만들고 달고나 모.. 2025. 1. 3.
더운 여름에는 팔루데فالوده와 시원한 이란 간식을 예로부터 차가운 간식이 발달한 이란오래 전부터 페르시아 제국으로 융성한 문화를 키우고 그 문화를 인도와 아랍, 튀르키예, 중앙아시아에 전파한 이란은 그만큼 강한 문화적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에는 식문화도 있죠. 이란의 식문화는 특이하게 더운 여름에 맞는 차가운 간식이 많다는 점입니다. 아마 드높고 나무가 적은 이란 고원에 살던 지역적 특성 때문이겠죠? 그래서 오늘은 이란의 차갑고 달콤한 간식으로 더위에 지친 몸에 생기를 불어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란의 시원한 음료 샤르밧شربت더운 여름이면 이란 사람들은 그들이 즐겨 사용하는 장미수를 그대로 차갑게 식혀 마십니다. 이란에서 장미수는 우리나라의 식초와 비슷하게 음식에 풍미를 주고 식욕을 돋구는 역할을 하는데 그 장미수를 냉장고에 넣어 차.. 2024. 8. 2.
완벽한 디저트, 파르페Parfait 천상의 아이스크림 빠흐뻬Parfait프랑스어로 완벽함을 의미하는 빠흐뻬Parfait(영어: 퍼펙트Perfect, 이탈리아어: 뻬르뻭또Perfetto, 스페인어: 뻬르뻭또Perfecto, 포르투갈어: 뻬르뻬이뚜Perfeito)는 프랑스가 자랑하는 디저트를 가리키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프랑스에서 부르는 빠흐뻬Parfait는 본디 특별한 아이스크림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나 프랑스를 넘어 전세계로 퍼지며 형태가 달라졌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프랑스에서 출발한 빠흐뻬Parfait가 나라별로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보려고 합니다. 프랑스 빠흐뻬Parfait français빠흐뻬Parfait는 본디 프랑스 사람들이 인정한 완벽한 아이스크림입습니다. 빠흐뻬Parfait는 달걀 노른자에 설탕시럽을 넣은 후 섞어 거품을.. 2024. 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