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공학/세상을 바꾼 IT

[세상을 바꾼 IT: 일상] MEME, 새로 탄생한 인터넷 문화

by 롱카이 2024. 6. 14.
반응형
  • 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

이기적 유전자에 저술된 meme
이기적 유전자에 저술된 meme

모든 것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세계적인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인간 문화 역시 과학적 증명으로 해석하려고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사람들이 종교나 이념 등 특정 사상을 공유하는 사회적 현상을 유전자가 복제해 후손으로 동일하게 전달되며 진화하는 것에 비유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를 Meme이라는 새로운 학술용어를 만들어 지칭했습니다. Meme이라는 용어는 1976년 그가 저술한 <The Selfish Gene> [이기적 유전자]에 처음 언급되었고 그 외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 인터넷 세상과 함께 등장한 Meme

중국 QQ에서 유행한 熊猫人
중국 QQ에서 유행한 熊猫人

그리고 시간이 지나 1995년 이후 전세계에 인터넷이 보급되고 블로그와 인스턴트 메신저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사람들은 재미있는 그림이나 영상을 인터넷에 올리고 함께 즐거워하는 새로운 문화가 탄생했습니다. 또한 Adobe Photoshop과 Adobe Illustrator 등 사진을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등장하며 사람들은 원본 사진을 웃기게 편집할 수 있었고 편집한 작품들을 인터넷에 올리고 공유했습니다.

2009년부터 세계적인 밈이 된 컨트리볼
2009년부터 세계적인 밈이 된 컨트리볼

그리고 타인이 올린 사진과 영상을 무료로 제한없이 보고 즐기고 지인에게 공유했습니다. 이런 문화가 대중적인 문화가 되자 학자들과 사람들은 리처드 도킨스의 <The Selfish Gene>에 나오는 용어인 Meme을 해당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했습니다. 2000년대 Meme은 세계적인 인터넷 문화가 되었습니다.

 

 

 

  • 스마트폰 등장과 폭발적으로 성장한 Meme

2010년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Meme &quot;Doge&quot;
2010년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Meme "Doge"

2008년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손가락으로 이미지와 영상을 쉽게 편집하는 App들이 등장하며 Meme을 만들기 더 쉬워졌고 덕분에 Meme은 컴퓨터 시기 때보다 더 거대한 인터넷 문화로 성장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에 편승해 거대한 연결망을 형성한 SNS를 타고 Meme이 이전보다 훨씬 더 빠르게 전세계로 퍼져 전세계 사람들이 즐기는 문화가 되었습니다.

톰 크루즈 meme
톰 크루즈 meme

Meme은 채팅에 정말 최적화된 문화였습니다. 사람들은 4chan, Reddit, facebook, twitter, Youtube 등 SNS를 이용하며 타인과 대화할 때 스티커 외에도 Meme을 적극적으로 사용했고 특히 온라인 게임 채팅창에 Meme을 사용해 상대방을 골탕 먹이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은 언제 어디에서나 바로 찍어 SNS로 사진과 동영상을 올릴 수 있었기에 누구나 찰나의 순간을 찍어 Meme으로 편집해 올리면 새로운 Meme이 탄생하고 그 Meme이 인기를 얻어 인터넷에 빠르게 퍼졌습니다. 덕분에 meme 문화는 시간이 지날수록 몇배로 거대해졌습니다.

 

 

 

  • 현실을 바꾼 Meme

단순 meme에서 대안우파의 상징이 된 Pepe the frog
단순 meme에서 대안우파의 상징이 된 Pepe the frog

2000년대 초반 Meme은 단순히 인터넷 상에서 채팅이나 게임, 혹은 동영상에서 가볍게 즐기는 인터넷 문화였지만 빠른 속도로 거대해지고 영향력이 강해지는 Meme은 2010년대 결국 현실세계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례로 2005년 맷 퓨리가 인터넷에 올린 Pepe the frog는 어딘가 단순하고 우울해보이는 개구리 캐릭터였습니다. 이 캐릭터는 2008년 SNS에서 갑자기 유명해졌고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Meme이 되었습니다. 미국의 대안우파들과 극우들은 비참한 자신들의 상황을 Pepe the frog로 그려 SNS에 퍼트리며 현실을 자조하고 비판했습니다.

2016년 도널드 트럼프 당선과 Pepe the frog
2016년 도널드 트럼프 당선과 Pepe the frog

때문에 Pepe the frog는 미국 우파의 상징이 되었고 2016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며 Pepe the frog는 미국과 전세계에서 가장 큰 논란이 되는 Meme이 되었습니다. 이 현상은 인터넷 문화가 현실세계에 큰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고 누구나 Meme이 세계적인 대중문화임을 납득하게 만든 사건이었습니다.

2020년을 뜨겁게 달군 도지코인 Meme
2020년을 뜨겁게 달군 도지코인 Meme

2020년에는 비트코인이 유명해지고 일론 머스크가 비트코인에 대한 풍자로 도지코인을 발행했는데 이것이 오히려 유명해지며 세계적으로 도지코인 Meme과 일론 머스크 Meme이 유행했습니다. 그리고 일론 머스크는 Meme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해학적으로 자신의 야망을 표출했습니다. 덕분에 전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일론 머스크에 주목하고 도지코인에 투자하며 전세계 경제에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 일상에 녹아든 Meme

2020년 이후 유행한 시바 meme
2020년 이후 유행한 시바 meme

2020년 이후 Meme은 이제 모두에게 익숙한 일상이 되었습니다. 더이상 "인터넷 문화"로 특정 짓지도 않고 그냥 "대중문화"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모두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했고 SNS에 Meme이 대표 문화가 된 것을 넘어 SNS를 하지 않는 사람들도 Meme을 익히 알고 있는 수준이 되었습니다. 옛날에 전문 예술가가 우수한 예술 작품을 창조해 일부 부유한 소수에게 공유하는 것이 주류 문화로 자리잡았다면 모두에게 스마트폰이 주어진 지금은 누구나 가볍고 재미있는 Meme을 창조해 모두에게 공유하고 즐거워하는 것이 주류 문화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스마트폰은 모두에게 기회를 제공했고 모두의 능력을 흡수하며 더 거대한 세상을 만들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