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공학/세상을 바꾼 IT

[세상을 바꾼 IT: 일상] 스티커, 모바일 메신저에서 탄생한 문화

by 롱카이 2024. 6. 13.
반응형
  • ライン의 승부수, 라인프렌즈
라인프렌즈
라인프렌즈

2010년 대한민국을 카카오톡이 지배한 이후 NHN은 네이버톡으로 카카오톡에 저항했으나 처참하게 패배했습니다. 이에 NHN 재팬은 일본에서 모바일 메신저 사업으로 ライン을 출시하며 일본에서 ライン의 자리를 공고하게 하기 위해 카카오톡에 없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NHN 재팬은 귀여운 것을 좋아하는 일본인의 특성에 맞게 귀여운 그림을 ライン에서 마음껏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추가했는데 그렇게 탄생한 것이 라인프렌즈입니다.

그림으로 감정과 상황을 쉽게 표현하는 라인프렌즈
그림으로 감정과 상황을 쉽게 표현하는 라인프렌즈

라인프렌즈는 글로 적는 모바일 메신저가 전하는데 한계가 있는 감정, 즉각적인 반응 등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를 캐릭터가 대신 하는 스티커로 애니메이션을 넣어 캐릭터의 동작으로 본인이 전하고 싶은 메세지를 정말 간단하고 함축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글자를 일일이 타이핑하는 것 대신 그저 적합한 라인프렌즈 스티커를 클릭하기만 해 즉각 감정이나 의사를 전달했습니다.

일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라인프렌즈
일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라인프렌즈

또한 라인프렌즈는 자연스럽게 ライン의 마스코트로 등극해 ライン을 상징하는 IP가 되었습니다. 일본인들은 라인프렌즈를 보고 ライン을 떠올렸고 귀여운 라인프렌즈 그 자체를 좋아하며 라인프렌즈 인형이나 열쇠고리 등 굿즈를 별도로 구매하고 팬이 생겼습니다. 덕분에 ライン은 단순한 스티커였던 라인프렌즈를 ライン의 IP로 등극해 많은 부가수익을 얻었고 라인프렌즈를 앞세워 해외로 사업을 확장하는데 이용했습니다. 해외에서도 귀여운 라인프론제는 큰 인기를 얻어 세계적인 마스코트가 되었습니다.
 
 
 

  • 카카오톡의 반격, 카카오프렌즈와 카카오 이모티콘
카카오프렌즈
카카오프렌즈

일본에서 라인프렌즈가 일본인들을 열광시키고 해외로 진출하자 카카오톡은 경쟁사인 NHN을 견제하기 위해 2012년 라인프렌즈를 벤치마킹한 카카오프렌즈를 출시했습니다. 그리고 카카오프렌즈를 카카오톡의 마스코트로 내세워 한국인에게 카카오톡을 확실하게 인식시키고 해외에 라인프렌즈의 경쟁 IP로 출시했습니다.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카카오프렌즈는 라인프렌즈보다 더 간결하고 깔끔한 디자인을 앞세워 젊은 층을 공략했습니다. 카카오프렌즈를 디자인한 호조는 각 캐릭터별로 이야기를 넣어 사람들이 카카오프렌즈에 관심을 가지고 몰입하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더 다양한 동작 애니메이션을 넣어 더 풍부하게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게 만들며 젊은 한국인을 공략했습니다.

이모티콘으로 대화하는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모티콘으로 대화하는 문화가 형성되었다

또한 카카오프렌즈 외에 여러 작가들이 그들의 그림을 이모티콘으로 출시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카카오 이모티콘을 열어 더 다양하고 흥미로운 이모티콘들을 카카오톡으로 흡수했습니다. 이미 잘 알려진 웹툰 작가나 일러스트레이터들은 카카오톡에 이모티콘을 출시해 부수입을 얻고 카카오톡은 그 팬을 흡수했습니다. 혹은 순수하게 이모티콘을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들을 영입해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추가했습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샵은 새로운 카카오톡 문화를 만들었다
다양한 카카오톡 이모티콘은 카카오톡만의 문화를 만들었다

카카오톡은 풍부한 이모티콘을 흡수하며 새로운 모바일 문화를 형성했습니다. 10대를 비롯한 젊은 한국인들은 각자 마음에 드는 이모티콘을 구입해 그 이모티콘으로 대화했고 서로 자기의 이모티콘을 자랑하고 상대의 이모티콘을 구경하며 즐거워하는 문화가 생겼습니다.
 
 
 

  • 중국에 퍼진 貼圖
중국에도 貼圖 문화가 퍼졌다
중국에도 貼圖 문화가 퍼졌다

카카오톡이 카카오프렌즈와 카카오 이모티콘샵으로 물량공세를 하자 ライン 역시 라인 스티커샵을 열어 더 다양한 스티커를 출시했습니다. 대한민국과 일본이 스티커에 열광하자 중국도 이에 가세했습니다. 腾讯은 10대 청소년이 많이 이용하는 QQ에 먼저 貼圖를 출시했고 대박을 터트렸습니다. 그러자 QQ에 이어 微信에도 貼圖를 출시했고 중국인들 역시 하나의 그림으로 간단하게 복잡한 상황과 감정을 표출하는 貼圖를 적극적으로 이용했습니다.
 
 
 

  • WhatsApp과 Telegram으로
WhatsApp의 Sticker
WhatsApp의 Sticker

한국, 일본, 중국 동아시아에서 스티커 문화가 빠르게 자리잡자 동아시아 외 국가들도 이 현상을 흥미롭게 바라보았습니다. 해외는 라인프렌즈가 내세운 스티커 용어를 이용해 Messenger Sticker로 불렀고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특히 전세계에 널리 사용되는 WhatsApp이 Sticker를 적극적으로 이용했습니다. 전세계 각지의 재치가 넘치는 사람들이 WhatsApp에 재미있는 Sticker를 올렸고 사람들은 Sticker로 대화하며 즐거워했습니다.

Telegram은 Sticker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Telegram은 Sticker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Telegram은 Sticker를 Telelgram의 주요 서비스로 집중했습니다. Telegram은 개인이 자유롭게 Sticker를 이용하고 제작해 사용할 수 있게 지원했습니다. 그래서 Telegram은 정말 다양한 Sticker들이 있으며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Sticker를 보유한 모바일 메신저로 성장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