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공학/저멀리 우주로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인공위성에 눈을 달다

by 롱카이 2024. 8. 23.
반응형
  • 달에 착지하라
Луна-2
Луна-2

소련은 못내 달에 착지하지 못한 루나 1호Луна-1가 아쉬웠습니다. 그래서 1959년 9월 14일에 다시 한번 루나 2호Луна-2를 개발해 달에 착지를 시도했습니다. 방법은 여전히 달에 돌진해 충돌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루나 2호Луна-2는 루나 1호Луна-1를 약간 손을 본 정도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사실상 재도전이었습니다.

달에 착지한 Луна-2
달에 착지한 Луна-2

루나 1호Луна-2와 같은 방법으로 우주로 나아간 루나 2호Луна-2는 순조롭게 달로 돌격했습니다. 그리고는 달표면과 정통으로 충돌했습니다. 이것은 소련 개발자들이 원하던 방식으로 잘 착지했습니다. 그리고 착륙 후 수신장치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지구에 성공신호를 보냈습니다.

루나 2호 항로
루나 2호 항로

본디 루나 2호Луна-2의 임무는 지구와 달의 항로를 파악하고 달에 착지하는 것 자체였기에 루나 2호Луна-2의 임무는 성공했습니다. 동시에 지구를 벗어나며 밴 앨런대의 전기선속과 에너지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태양풍을 측정하는데 성공했기에 임무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 지구와 달을 오간 루나 3호Луна-3
지구와 달을 왕복하는 루나 3호
지구와 달을 왕복하는 루나 3호

1959년 9월 14일 루나 2호Луна-2가 성공하자 자신감이 붙은 소련 기술자들은 지구와 달을 오가는 달탐사선을 개발했습니다. 그것이 루나 3호Луна-3로 루나 3호는 지구에서 출발해 달 궤도에 안착하며 달의 뒷면을 촬영하고 달의 중력을 스윙바이삼아 지구로 귀환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루나 3호
루나 3호

루나 3호Луна-3는 카메라를 보유해 달의 뒷면을 촬영하는 것을 최우선했습니다. 지구에서 보는 달의 단면은 항상 같으며 달의 뒷면은 볼 수가 없었기 때문에 달의 뒷면은 많은 사람들의 궁금거리였습니다. 그래서 루나 3호Луна-3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전기를 공급할 태양광전지를 달아 달로 보냈습니다.

달의 뒷면
달의 뒷면

루나 3호Луна-3가 찍은 달의 뒷면은 평범했지만 달의 뒷면을 찍고 달의 중력을 이용해 지구 궤도로 복귀하는데 성공해 루나 3호Луна-3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루나 3호Луна-3는 달의 뒷면이 앞면보다는 구덩이가 별로 없고 깨끗하다는 중대한 사실 하나를 건졌습니다.
 
 
 

  • 세계 최초의 정찰위성, 디스커버러Discoverer
U-2 정찰기
U-2 정찰기

한편 소련은 철의 장막으로 소련 안에 있던 일을 외부에 공개하는 것을 철저하게 통제했기에 미국은 소련이 무슨 일을 하는지 감시가 불가능했습니다. 그렇다고 정찰기를 보내면 순식간에 발각되어 대공미사일을 맞고 격추될 것이 뻔했습니다. 실제로 1960년 5월 1일 미공군 정찰기인 U-2가 소련 상공을 정찰하다 대공레이더에 걸려 대공미사일을 맞고 격추된 적이 있습니다.

Discoverer
Discoverer

이 사건 이후 미국은 정찰기를 우주로 보내자는 아이디어를 얻었고 코로나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정찰위성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디스커버러Discoverer라는 정찰위성을 상공에 띄워 감시하는 프로젝트를 열었습니다. 사실 U-2 격추사건 1년 전인 1959년 디스커버러 1Discoverer I이 북극에서 시험정찰을 했습니다. 그러던 중 U-2 격추사건으로 디스커버러Discoverer이 주목받아 코로나 프로젝트로 진행되었습니다.

디스커버러와 코로나 프로젝트
디스커버러와 코로나 프로젝트

문제는 당시 기술로는 사진을 무선통신으로 전달하는 기술이 없고 잘못 무선통신하면 소련이 감청해 파악할 수 있기에 사전을 찍은 디스커버러Discoverer가 지구로 떨어져 미군이 이를 건지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디스커버러Discoverer는 1년 동안 소련과 중국 등 공산주의 국가를 감시한 후 1년이 지나면 지구로 귀환하며 미군이 사진을 보고 동향을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했습니다.

디스커버러 14 포획 작전
디스커버러 14 포획 작전

이 일련의 과정 전체를 코로나 프로젝트라 하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디스커버러Discoverer는 디스커버러 14Discoverer XIV에서야 가능했습니다. 1960년 8월 18일에 디스커버러 14Discoverer XIV가 무사히 지구로 귀환하고 미군이 이를 공중에서 잡는데 성공했습니다. 이후 미국은 디스커버러Discoverer 정찰위성 시리즈로 소련과 중국, 또는 다른나라들을 감시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