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락한 로마 총대주교와 부패한 로마 가톨릭
성전 십자군 전쟁이 로마 총대주교파의 패배로 끝이 나자 로마 총대주교는 사람들의 불신을 받았습니다. 또한 예전부터 누적되던 로마 교회의 부패는 사람들의 지적을 받았습니다. 로마 가톨릭을 이끌며 모든 사람들을 신실한 신앙인으로 인도해야 할 로마 총대주교는 마로치아라는 여성이 로마 총대주교 자리를 마음껏 주무르며 마음에 드는 사람만 총대주교로 앉히는 창부정치를 시작으로 강성한 메디치 가문이 돈과 권력으로 메디치 가문 사람을 로마 총대주교 자리에 임명하며 신실한 신앙인의 자리가 아닌 욕망으로 가득찬 권좌가 되었습니다.
로마 총대주교부터 타락하자 로마 가톨릭 교회들도 당연히 타락했습니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신부들은 경건한 신앙생활이 아닌 사람들의 재산을 탐냈으며 재산을 강탈하고 영주와 결탁해 지역의 재산을 양분하거나, 사람들을 속이며 헌납금이라는 명분으로 많은 재산을 모았습니다.
- 동방 정교회로부터 온 초기 성경 원서
로마 가톨릭은 라틴어로 성경을 집필해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본디 성경은 히브리어로 작성된 것을 그리스어로 정리해 집대성한 경전이었습니다. 그리고 십자군 전쟁 이후 흉흉해진 비잔티움 제국의 동방 정교회 신학자들은 비잔티움 제국이 멸망할 것이라 보고 서유럽으로 이주했습니다. 그리고 이슬람 국가인 오스만 제국이 기어코 비잔티움 제국을 멸망시키자 동방 정교회는 러시아로 이주하고 일부 신학자들은 로마 가톨릭이 강성한 오스트리아로 망명하며 동방 정교회가 보유한 성경 원서가 전해졌습니다.
그리스어로 작성된 성경 원서와 일부 히브리어 원서가 로마 가톨릭으로 유입되었고 로마 가톨릭 신학자들은 그리스어 원서와 히브리어 원서를 라틴어 성경과 비교하며 교차검증했습니다. 그러면서 라틴어로 번역하며 생긴 오역이나 미처 담지 못한 진짜 의미를 새롭게 알아갔습니다. 그 사이 동방 정교회는 러시아 제국의 러시아 정교회가 이끌며 다시 안정을 찾았습니다.
- 종교개혁
라틴어 성경을 성경원서와 교차검증하는 행위는 로마 총대주교와 로마 가톨릭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행위였습니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라틴어 성경은 무결한 성경으로 존경받았으나 성경 원서가 들어오며 라틴어 성경으로 읽을 필요 없이 성경 원서를 읽으면 되니 로마 가톨릭 교회의 권위가 약해졌습니다. 그리고 면죄부 사건을 계기로 로마 가톨릭 교회에 반발해 순수한 기독교를 부활시키자는 종교개혁이 일어났습니다.
- 로마 가톨릭을 고치자
종교개혁은 크게 두가지 방향이 있었습니다. 로마 가톨릭을 개선하자는 개선주의와 순수한 기독교를 부활시키자는 재건주의가 있었습니다. 로마 가톨릭을 고쳐 신실함을 회복하자는 개선주의를 이끈 대표적인 인물은 마르틴 루터입니다. 그는 95개조 반박문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면죄부를 비판하고 교회를 개선할 방법을 알렸습니다.
마르틴 루터는 그 방법으로 로마 총대주교와 사제 뿐만 아니라 신앙인이라면 누구나 성경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성경을 누구나 쉽게 읽도록 각 민족언어로 번역해 출판하고 널리 퍼트렸습니다. 마르틴 루터는 라틴어 성경을 각 언어로 바꿔 로마 가톨릭 교회가 가진 특권을 민중에게 나눠주면서 로마 가톨릭 교회를 개선하려고 했습니다.
- 순수한 기독교로 돌아가자
장 칼뱅은 로마 총대주교와 로마 가톨릭 교회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고 주의 자손이자 기독교인이라면 성경을 읽고 다른사람을 통해서가 아닌 오로지 성경만을 통해 주를 직접 만나고 주 앞에서 기도하고 회개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장 칼뱅은 성경만을 고집하며 오직 주만이 권능을 가지시며, 주의 예언을 들었다는 성인들은 모두 헛소리로 취급해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장 칼뱅은 오로지 성경만을 인정하고 성경만 따를 것을 강조했습니다.
'역사 > 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의 이해: 아브라함 종교] 한발리와 타사우프 (15) | 2023.11.28 |
---|---|
[종교의 이해: 아브라함 종교] 여러 교파로 나뉜 기독교 (21) | 2023.11.27 |
[종교의 이해: 아브라함 종교] 무타질라와 이슬람 영지주의 (11) | 2023.11.23 |
[종교의 이해: 아브라함 종교] 교회 대분열 (12) | 2023.11.22 |
[종교의 이해: 아브라함 종교] 순나와 쉬아 (11) | 2023.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