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물/바이러스학86

[바이러스학: 바이러스 개괄] 바이러스 조립 바이러스 단백질 조립 전사와 번역으로 바이러스 폴리펩타이드가 탄생하면 이를 조립해 단백질을 만들어야 합니다. 보통 세포의 단백질은 ER에서 조립되는데 바이러스는 보다 다양한 공간에서 스스로 조립합니다. 진핵세포 단백질은 구조가 복잡하기에 효소의 도움을 받아 여러 단계를 거쳐 조립해야하지만 바이러스 단백질은 대부분이 그저 단단한 바이러스 껍데기를 구성하는 단백질이며 다른 단백질도 상대적으로 간단한 편이어서 웬만해서는 스스로 조립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세포는 올바른 단백질 조립에 진심이기에 바이러스 단백질이 나타나면 이상한 단백질이라 판단해 녹여버리기에 바이러스는 단백질 조립만큼은 세포의 도움을 최대한 받지 않으려고 합니다. 바이러스 공장 그래서 바이러스는 일단은 세포 안에서 바이러스 단백질을 미친듯이 찍어.. 2024. 1. 9.
[바이러스학: 바이러스 개괄] 바이러스 복제 바이러스 유전자 바이러스는 종마다 각기 다른 유전자 물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바이러스는 RNA에 유전정보를 각인해 저장하는 바이러스가 있고 어떤 바이러스는 DNA에 유전정보를 각인합니다. 심지어 단일 가닥 RNA인 ssRNA(single strand RNA)나 이중 가닥 RNA인 dsRNA(double strand RNA)로 유전자 형태를 가진 바이러스도 존재하고 DNA도 마찬가지로 ssDNA나 dsDNA 형태를 가진 바이러스도 존재합니다. 핵으로 침투하는 바이러스 유전자 어찌되었든 바이러스 유전자는 바이러스 침입을 감시하는 세포 감시망을 피해 어찌저찌 핵으로 이동하면 절반은 성공한 것입니다. 그럼 바이러스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사를 합니다. 아예 유전자와 RNA 폴리머라이즈RNA Polymerase.. 2024. 1. 9.
[바이러스학: 바이러스 개괄] 바이러스의 침투법 세포막을 통과하라 바이러스는 우선 세포를 감싸는 세포막 안으로 바이러스 전체가 들어가든 바이러스 유전자만 들어가든 어떻게든 침투를 해야 합니다. 그렇기에 바이러스는 다양한 침투법을 사용해 침투합니다. 그리고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직접 들어가거나 세포막 단백질과 결합해 들어가는 방법 두가지가 존재합니다. 세포막을 뚫는 바이러스 첫번째 방법은 무식하게 세포막을 뚫고 진입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세포막에 방어장치와 센서 단백질이 미약한 원핵세포, 즉 세균에 침투하는 바이러스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인데 진핵생물 종인 인간을 숙주로 하는 일부 바이러스도 무식하게 세포막을 뚫어버리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세포막과 결합하는 바이러스 일부 바이러스는 자연스럽게 바이러스막이 세포막에 결합해 세포막의 일부가 됩니다. 세포막에 .. 2024. 1. 8.
[바이러스학: 바이러스 개괄] 바이러스 구성 세포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바이러스 지금까지 바이러스의 숙주인 세포의 형태에 대해 알아보고 단백질 합성과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바이러스는 스스로 단백질을 합성하지 못하기에 세포에서 자기 단백질을 무단생산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는 이유입니다. 바이러스 구성요소 바이러스는 종류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형태를 정확하게 특정하기는 힘들지만 바이러스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지정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본인의 유전정보를 담은 유전자를 반드시 가지고 있으며 그 유전자를 보호하는 단백질 껍질을 가져 단단한 단백질 껍질 안에 유전자를 소중하게 보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외각에는 세포막과 결합해 세포 안으로 침투할 수 있는 열쇠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 1. 8.
[바이러스학: 세포구조] 세포 밖으로 나가는 단백질 ER에서 합성되는 단백질 단백질은 ER 내부로 들어가 합성과정을 거치며 완성됩니다. 리보솜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Rough ER에 폴리펩타이드가 들어가 초반 단백질 합성이 이뤄지고 일부 단백질은 리보솜이 없는 깨끗한 Smooth ER에 가 고등 합성을 진행합니다. 여담으로 ER은 계속 분화하며 성장하는데 핵과 가까운 곳에는 Rough ER이 탄생하며 리보솜이 구멍에 다닥다닥 붙어있는 형태이며 오래된 ER은 밀려 외각에 위치하며 리보솜이 없는 Smooth ER이 됩니다. 그리고 Smooth ER 중 ER에서 완전히 분리된 것은 골지체Golgi apparatus가 됩니다. 그리고 ER과 골지체는 단백질 및 물질합성 공장으로 활동합니다. ER부터 골지체까지 이어지는 단백질 합성과정 단백질은 ER에서 초반합성을 .. 2024. 1. 5.
[바이러스학: 세포구조] 단백질 합성 폴리펩타이드와 단백질 합성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들은 번역과정으로 띠를 형성해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이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가 다양한 형태로 접어지고 돌돌 말리면서 모양이 잡혀가는데 이렇게 조립된 형태가 비로소 단백질입니다. ER에서 조립되는 단백질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다양한 화학형태를 띄며 수소결합 등 다양한 화학결합으로 접어지고 돌돌 말리는 등등 여러 방식으로 조립이 됩니다. 이때 조립은 ER 내부에서 이뤄집니다. ER 바깥에 리보솜이 붙어있으며 ER의 구멍 바로 위에 리보솜이 붙어있어 리보솜이 mRNA를 합성하며 탄생한 폴리펩타이드가 ER 내부로 쏙 들어갑니다. 조립되는 형태도 다양합니다. 종이접듯이 척척 접히는 것도 있고 .. 2024. 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