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물/바이러스학86

[바이러스학: 세포구조] 단백질을 만드는 번역 mRNA를 번역Translation해 단백질을 만들다 유전정보를 담은 사본 messanger RNA(mRNA)는 핵 밖으로 나갑니다. 핵에도 구멍이 송송 뚫려있으며 mRNA는 핵에 있는 구멍을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 그리고 핵 밖에서 mRNA에 적힌 염기서열에 따라 아미노산 띠를 만듭니다. 그리고 이 띠를 잘 조합해 단백질을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번역은 사실 핵 밖 어디서든 하긴 하지만 주로 하는 곳은 ER이라는 공간에서 합니다. 그 중 대부분이 핵과 직접 연결되어있는 Rough ER에서 이뤄지며 RER은 리보솜이 다닥다닥 붙어있어 거친면 같다고 해 RER이라 불리는 것입니다. 여튼 번역과정은 대부분 RER에서 이뤄집니다. 리보솜Ribosome 번역에는 리보솜Ribosome이라는 효소가 사용되는데 리보솜.. 2024. 1. 4.
[바이러스학: 세포구조] 유전자 전사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 유전자의 역할은 표시된 염기서열로 단백질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리고 염기서열에 따라 탄생한 단백질 여러개가 결국 개개인의 특성을 결정합니다. 그렇기에 유전자는 반드시 단백질을 만들어야 하며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이 존재합니다. 그 중 이편에서는 전사Transcription을 배워보겠습니다. DNA에서 RNA를 만드는 전사Transcription 세포 핵 안에서는 여러 염색체를 잠시 일부만 풀어 전사Transcription하는 과정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그리고 전사를 하기 위해서는 일단 DNA를 열어 염기서열을 노출시켜야 합니다. DNA는 유전정보를 담은 Coding strand과 Coding strand의 반대되는 정보를 담아 뚜껑 역할을 하는 Template strand가 존재합니.. 2024. 1. 4.
[바이러스학: 세포구조] 유전자, 생명의 핵심 생체 암호문 유전자 유전자란 무엇일까요? 우리는 흔히 성격과 외모가 유전으로 물려받는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유전자는 개인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로 유전자는 생체의 모든 특성을 결정짓습니다. 머리카락 색, 피부색, 외모, 키 등 외형적인 요소 그리고 선천적인 성격 모두 유전자로 결정됩니다. 그럼 유전자는 어떻게 이런 모든 요소들을 결정할까요? 유전자를 구성하는 핵염기 유전자는 암호문입니다. 뉴클레오사이드Nucleoside라는 핵염기가 존재하는데 U(Uridine), C(Cytidine), A(Adenosine), G(Guanosine), T(Thymine) 5가지가 존재합니다. 이들은 각각은 그저 복잡한 핵염기에 불과하지만 유전자는 이 핵염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띠를 만듭니다. 각각의 핵염기는 퓨린P.. 2024. 1. 3.
[바이러스학: 세포구조] 물질이 핵으로 가는 법 모든 것의 중심 핵 세포 안에 위치한 핵은 세포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입니다. 특히나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유전자 합성이 가능한 핵에 반드시 가야 합니다. 다행히 핵은 여러 물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외부 물질이 핵으로 이동합니다. 그래서 바이러스는 외부물질을 따라 핵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하지만 큰 문제가 있습니다. 세포 안에는 핵 외에도 수많은 작은 세포 소기관들이 많으며 때문에 세포 안은 여러 물질이 빽빽하게 밀집해있습니다. 그래서 그냥 무턱대고 세포 안으로 들어가다가는 핵이 아닌 쌩뚱맞은 세포 소기관 안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운이 없다면 리소좀에 잡혀 소화될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세포 안으로 들어가 핵으로 이동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핵으로 물질을 전하는 키네신 다행인지 불행인지 세포 역시.. 2024. 1. 3.
[바이러스학: 세포구조] 바깥 물질이 세포막을 통과하는 법 세포구조 바이러스의 숙주는 세포입니다. 그렇기에 세포가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이 구조를 교묘하게 이용해 침투한 것이 바이러스이기 때문입니다. 세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전자가 들어있는 핵Nucleolus입니다. 그리고 핵 주변으로 ER(Endoplasmic Reticulu)이 있고 ER 밖에 골지체Golgi Apparatus가 떨어져나가 둥둥 떠다닙니다. 그리고 다양한 세포 소기관이 존재합니다. 물질이동이 꼭 필요한 세포 그리고 세포는 외부물질을 세포 안으로 끌어당겨 사용합니다. 그래서 세포막에는 여러 단백질이 존재하고 이 단백질들은 각각 역할에 따라 외부물질을 감지하고 외부물질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게 끌어당깁니다. 주로 물이나 산소, 아니면 철이나 나트륨 등 매우 작은 원소가 세포막.. 2024. 1. 2.
[바이러스학: 세포구조] 세포 종류 다양한 세포와 핵 사실 세포도 종류가 많고 종류에 따라 핵 역시 차이가 납니다.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나누면 진핵세포Eukaryote와 원핵세포Prokaryote가 존재합니다. 진핵세포Eukaryote는 인체 내 세포, 원핵세포Prokaryote는 아메바나 대장균 같은 세균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원핵세포 원핵세포는 원시세포로 원핵세포 내부는 사실 매우 복잡하다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세포막 안에 여러 필수적인 세포소기관이 존재하고 유전자가 뭉쳐있습니다. 어떤 경우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리보솜과 여러 효소 단백질에 유전자만 존재하기도 합니다. 여튼 원핵세포는 핵Nucleus가 따로 없고 유전자가 그저 실뭉치처럼 뭉쳐있기만 합니다. 원핵세포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세포막단백질도 매.. 2024. 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