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의 이름은君の名は ost - Sparkle
https://www.youtube.com/watch?v=_KoB4onMgQk
- 인류의 또다른 행성이 될지도 모르는 화성
21세기 지구온난화가 심화되며 인류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면서 한편으로는 우주를 개척하고 우주에 식민지를 건설할 생각도 했습니다. 그리고 우주에 식민지를 건설한다면 좋을 장소로 화성을 선택했습니다. 우선 지구에서 가까우며 기후가 극단적이어서 인류가 도저히 살 수 없는 환경인 수성, 금성과 달리 화성은 비교적 변화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또 달과 같은 위성이 아닌 행성이었기에 화성은 인류가 식민지로 개발하고 정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 화성에 물이 있을까
만약 화성에 식민지를 건설한다면 당장 필요한 것은 물이었습니다. 물은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었으며 물에 전류를 흘려 가볍게 수소와 산소를 만들 수 있어 자원으로도 가치가 뛰어났습니다. 물론 지구에서 물을 화성으로 운반할 수도 있지만 그러기에는 비용 부담이 엄청났기에 화성에서 물을 자급자족하는 것이 이상적이었습니다.
그리고 냉전 동안 미국과 소련은 우주경쟁을 하며 서로 화성에 탐사선을 보내며 국력을 과시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화성에 대해 작게나마 조사한 데이터를 얻었고 화성에 물이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정보를 입수했습니다. 그래서 냉전 후 화성에 물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정보는 전 세계 천문학계에 알려졌고 화성에 물을 찾기 위해 제대로 된 탐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대두되었습니다.
일본 역시 화성에 관심을 두었고 1998년 제18호 과학위성 노조미のぞみ를 보냈으나 화성 바로 앞에서 연료가 고갈 나 아깝게 화성 궤도 진입에 실패했습니다. 또한 냉전 동안 미국과 소련 역시 화성에 수많은 탐사선을 보냈으나 성공한 탐사선은 별로 없는 등 화성 탐사는 난이도가 높은 도전이었습니다.
- 화성에서 물을 찾아라
그럼에도 세계 천문학계는 화성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았고 냉전 후 화성 탐사를 재개했습니다. 2001년 미국 NASA는 델타 II 우주선Delta II에 마스 오디세이Mars Odyssey라는 화성 궤도 탐사선을 발사했습니다. 마스 오디세이Mars Odyssey는 화성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했고 화성 궤도를 돌며 화성의 지질을 탐사했습니다.
마스 오디세이Mars Odyssey는 화성의 광물 위치를 파악하고 화성의 기후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했습니다. 또한 화성에서 물과 얼음의 흔적을 찾는 쾌거를 이루며 NASA가 화성을 계속 탐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불어넣었습니다. 그리고 화성에 물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소식은 전 세계를 열광시켰고 이어 유럽에서 화성 탐사선을 보냈습니다.
유럽우주국ESA와 러시아 우주과학자들은 공동으로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를 개발해 2003년 러시아의 소유즈 우주선Союз으로 발사했습니다.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는 화성 궤도를 돌며 화성을 관찰하는 마스 오비터Mars Orbitor와 화성에 착륙해 토양을 탐사하는 비글 2호Beagle 2로 구성되었습니다.
마스 오비터Mars Orbitor는 성공적으로 화성 궤도에 안착했습니다. 그리고 카메라와 레이더 등 탐사 장비를 이용해 화성 표면을 관측하며 화성 표면의 물질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마스 오비터Mars Orbitor는 화성 남극에서 얼음 형태로 있는 물 분지를 발견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화성에 물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고무적인 성과였습니다.
한편 화성 표면에 착륙하기로 한 비글 2호Beagle 2는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된 뒤 화성 지표로 향했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통신이 두절되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를 비글 2호Beagle 2가 화성 표면과 빠르게 충돌해 파손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비글 2호Beagle 2 착륙 실패는 아쉬웠지만 마스 오비터Mars Orbitor 덕에 화성 남극에 물이 있다는 위대한 발견을 했습니다.
'기술공학 > 저멀리 우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멀리 우주로: 실용개발] 카구야, 달을 꼼꼼히 조사한 탐사선 (37) | 2024.11.20 |
---|---|
[저멀리 우주로: 실용개발] 화성 착륙선, 지표를 탐사하라 (39) | 2024.11.19 |
[저멀리 우주로: 실용개발] 국제우주정거장, 우주에 세워진 기지 (50) | 2024.11.15 |
[저멀리 우주로: 실용개발] 마지막 우주왕복선, 역사에 길이 남을 위대한 배 (37) | 2024.11.14 |
[저멀리 우주로: 실용개발] 미르 우주정거장, 미국과 러시아의 합작 (35) | 2024.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