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공학/저멀리 우주로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우주에 살 방안을 찾아라

by 롱카이 2024. 9. 3.
반응형
  • 우주에 머무르려는 시도
좀 더 오래 우주에 머물 방법을 연구했다
좀 더 우주에 오래 머물 방법을 연구했다

유리 가가린을 시작으로 많은 우주비행사들은 궤도에 의지해 잠깐 우주를 둘러보고 지구로 생환했습니다. 하지만 소련과 미국 모두 우주를 잠깐 구경하는 정도로는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둘은 우주선을 인간이 며칠 거주할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 우주에서 각종 실험을 하고 연구하는 공간으로 만들려고 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명의 인간이 며칠 간 거주 가능한 우주선을 개발하는 것이 우선이었습니다.
 
 
 

  • 소련 보스토크 계획
발레리 바이콥스키
발레리 바이콥스키

보스토크 3호Восток-3와 보스토크 4호Восток-4가 우주선 간 통신에 성공한 이후 소련은 인간을 우주에 5일 간 체류하는 것을 시도했습니다. 보스토크 계획의 새 과제는 우주에 오래 채류하게 하는 것으로 발레리 바이콥스키 혼자 보스토크 5호Восток-5에 탑승해 일주일 이상 우주에 머무는 실험을 했습니다.

5일 간 우주에 머문 보스토크 5호
5일 간 우주에 머문 보스토크 5호

발레리 바이콥스키가 탑승하는 보스토크 5호Восток-5는 8일 간 우주에 머무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1963년 6월 14일 우주로 나아가 우주식량으로 식사를 하며 우주에서 생활했습니다. 허나 도중에 태양 플레어가 강해지는 극악의 상황 때문에 5일만 우주에 있다가 지구로 귀환했습니다.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발레리 바이콥스키는 개인적으로 맛이 너무 없는 우주식량을 먹으며 4일을 좁은 우주선 안에 생활하는 것이 끔찍했다고 회고했지만 인간이 5일 간 우주에 머물며 어떤 신체적 변화가 있었는지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들이 모였습니다. 소련 정부는 여성은 우주에서 어떤 신체변화가 발생할지 자료를 얻기 위해 여성 우주비행사를 보냈습니다. 1963년 6월 16일 소련은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라는 여성을 보스토크 6호Восток-6에 탑승시켜 우주로 보냈습니다.

사출한 뒤 낙하산으로 착지오던 보스토크 우주선
사출한 뒤 착지하던 보스토크 우주선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는 우주비행사 절차를 밟은 인재가 아닌 낙하산을 메고 뛰어내리는 취미를 가진 평범한 노동자였습니다. 하지만 당시 보스토크 우주선은 지상에 안전하게 착지하게 하는 기술이 없어 지상 6천 미터에서 우주비행사가 앉은 자리가 사출되고 우주비행사가 낙하산을 펼치고 뛰어내려야 했습니다. 그래서 낙하산 기술이 최우선 되었고 마침 낙하산 기술을 보유한 사람이 있어 그녀가 선출되었습니다.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는 우주에서 우주멀미로 고생했지만 우주에서 여성이 겪는 신체변화 자료를 입증한 산증인이자 세계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 소련과 공산주의는 남녀를 평등하게 대한다는 선전거리로서  큰 의의를 두었습니다.
 
 
 

  • 미국 제미니 계획
머큐리 계획->제미니 계획->아폴로 계획
머큐리 계획->제미니 계획->아폴로 계획

소련은 보스토크 계획으로 보스토크 1호에 유리 가가린을 탑승시킨 전력이 있으며 이를 본 미국은 머큐리 계획에 따라 빨리 머큐리 우주선Mercury를 우주로 보낸 뒤 바로 유인달탐사선에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래서 머큐리 계획은 본 일정보다 빨리 중단되었고 달탐사선 계획인 아폴로 계획이 발동되었습니다. 문제는 작은 머큐리 우주선Mercury 가지고는 달에 이동하는 동안 사람이 견디지를 못했습니다. 그래서 더 크고 안전하며 여러 사람들이 생활하고 선내 이동이 가능한 우주선이 필요했습니다. NASA는 그 우주선을 만드는 계획으로 제미니 계획을 세웠습니다.
 
 
 

  • 보스호드 계획
보스호드 1호
보스호드 1호

NASA가 제미니 계획을 세운다는 첩보를 받은 소련은 미국을 또 엿먹이기 위해 제미니 계획과 동일한 계획인 보스호드 계획을 세웠습니다. 보스호드 계획은 여러 명의 우주비행사들이 탑승해 우주에서 생활이 가능한 우주선 개발이었습니다. 하지만 보스호드 우주선Восход은 보스토크 우주선Восток과 동일했습니다. 그저 같은 우주선 안에 세명을 넣고 지상에 안전하게 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보스호드 1호Восход-1는 우주선 내부를 정리해 세명의 우주비행사들이 탑승가능한 공간을 마련하고 지상착륙 시 빠른 속도를 최대한 절감하는 낙하산을 개발해 세명이 우주 왕복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보스호드 2호와 베르쿠트 우주복
보스호드 2호와 베르쿠트 우주복

그리고 NASA에서 유인 우주선인 제미니 3호Gemini 3를 준비하자 소련은 미국보다 먼저 더 대단한 일을 전세계에 알리고자 보스호드 2호Восход-2 개발을 빨리 진행했습니다. 보스호드 2호의 목적은 진공상태인 우주로 사람이 나가 우주유영하는 것으로 우주선과 우주공간 간의 기압차를 극복해야 하며 우주복 역시 튼튼해야 했기에 어려운 임무였습니다. 그래서 소련 개발자들은 우주 밖으로 나갈 시 자외선과 기압차를 견디는 베르쿠트 우주복을 개발하고 압력을 조절하는 우주유영 준비실을 마련했습니다.

대서특보된 알렉세이 레오노프의 우주유영
대서특보된 알렉세이 레오노프의 우주유영

그리고 1965년 5월 18일 보스호드 2호Восход-2는 우주로 발사되었고 알렉세이 레오노프 파일럿이 우주유영에 도전했습니다. 그는 우주유영 모습을 동영상으로 기록했고 그들이 지구로 귀환한 뒤 그 동영상은 전세계로 퍼지며 소련이 우주유영을 성공했음을 널리 선전했습니다. 제미니 계획을 진행 중이던 미국은 우주유영마저 빼앗겨 상당히 곤란한 처지에 처했습니다.
 
 
 

  • 뒤늦게 진행된 제미니 계획
우주선 조종에 성공한 제미니 3호
우주선 조종에 성공한 제미니 3호

결국 우주유영마저 소련에게 빼앗긴 NASA는 많이 위축되었지만 유인달탐사선 하나만 바라보며 착실하게 진행했습니다. 제미니 3호의 목표는 우주에서 우주선을 조종하는 것으로 1965년 3월 23일 두명의 우주비행사가 지구 궤도에서 제미니 3호Gemini 3를 조종해 다른 궤도로 이동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생중계된 에드워드 화이트 우주유영
생중계된 에드워드 화이트 우주유영

이어 제미니 4호Gemini 4는 미국에서 시도한 우주유영으로 NASA는 제미니 4호Gemini 4의 우주유영을 전세계 생중계했습니다. 에드워드 화이트 파일럿이 우주유영을 했으며 그는 우주에 나간 것이 신나 계획보다 더 오래 우주유영을 했습니다. 제미니 4호Gemini 4는 보스호드 2호에 대한 견제로 우주유영도 했지만 본 목적은 궤도를 일치시키는 랑데부였습니다. 허나 랑데부는 실패했습니다.

제미니 11과 ATV의 도킹
제미니 11호와 ATV의 도킹

이후 1965년 12월 15일 제미니 6A호Gemini 6A에서 랑데부에 성공했고 다음 단계인 우주선 간 결합인 도킹을 시도했습니다. 도킹 역시 매우 어려운 기술이었으며 사전 검토가 필요했기에 NASA는 수차례 제미니 우주선Gemini을 발사해 시도했습니다. 마침내 1966년 12월 12일 제미니 11호Gemini 11과 ATV가 도킹에 성공하며 NASA는 우주 공간에서 더 넓은 장소를 만드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모두 유인달탐사선에 적용될 기술이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