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타이트
기원전 1650년 즈음 아나톨리아 반도에 자리잡은 히타이트는 곧 아나톨리아 반도의 맹주가 되었습니다. 히타이트 왕국은 활발한 영토확장 정책을 펼쳤고 우리에게 히타이트-이집트 전쟁으로 잘 알려졌습니다. 히타이트 왕국은 고대 인도-유럽 신화를 믿는 집단이었으며 같이 아나톨리아 반도에 자리잡은 루비아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메소포타미아 신화를 받아들여 히타이트-루비아 신화를 만들어냈습니다. 이후 아나톨리아 반도 북동부의 후르리에 영향을 받아 더 풍부한 신화를 만들어냈습니다.
- 히타이트 신화
히타이트 신화는 히타이트 고왕조인 기원전 1650년부터 기원전 1500년 청동기 시대에 완성되었습니다. 히타이트 신화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고 신화를 표현하는데 메소포타미아 신화처럼 부조와 조각, 점토판 문자로 표현했습니다. 히타이트 왕국은 자국 신화를 수많은 기록물로 기록했습니다. 덕분에 학자들은 히타이트 왕국의 수도 하투샤에서 점토판과 부조를 발견해 히타이트 신화를 비교적 쉽게 연구할 수 있었고 연구 결과 히타이트 신화는 약 1000명의 신을 섬기며 각 신은 히타이트 전통 신의 이름을 하지만 메소포타미아 신의 모습을 따온 것이 많습니다. 히타이트 신화의 주요 신화는 부자간의 전쟁을 다룬 신화입니다. 최초의 천신 아누를 쫒아낸 크마르비가 신의 왕이 되고 크마르비의 아들 타훈트가 아버지를 천계에서 내쫒고 크마르비는 이에 분노해 바위괴물 울리쿰미를 만들어 타훈트에게 보내지만 타훈트가 울리쿰미를 무찌르고 타훈트의 아들 텔리피누와 딸 이나라에 지배 권위를 물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이 신화는 이후 그리스 신화에서 우라노스, 크로노스, 제우스로 이어지는 "천상의 왕위 쟁탈전"의 원형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그 외 히타이트 신화의 여러 신화는 그리스 로마 신화와 북유럽 신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 후르리 신화
반면 히타이트 신화에 큰 영향을 준 후르리 신화는 히타이트 왕국 덕분에 내용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후르리는 여러 제국들이 경쟁하던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북쪽에 위치한 민족으로 문자가 없어 기록문화를 가지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후르리는 히타이트 왕국과 자주 교류하며 후르리 문화를 히타이트로 전파했고 히타이트는 히타이트 문자로 후르리 문화를 기록했습니다. 그 중 후르리 신화도 수록되었고 후르리 신화의 중심 신화인 "크마르비 순환"는 히타이트 중심 신화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후르리인들은 노래로 그들의 신화를 전했습니다. 그래서 기록된 후르리 신화는 노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히타이트 유적지에서 "쿠마비 순환"이라는 시집을 발견했고 "크마르비 순환"은 "크마르비의 노래", "람마의 노래", "은의 노래", "혜담무의 노래", "울리쿠미의 노래"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 외의 바다의 노래, 해방의 노래, 기름의 노래 등등 많은 서사시가 기록되어있었고 학자들은 이를 후르리 신화로 여기고 있습니다.
'역사 >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화의 시대 고찰: 로마 신화 (8) | 2022.09.26 |
---|---|
신화의 시대 고찰: 그리스 신화 (10) | 2022.09.19 |
신화의 시대 고찰: 가나안 신화 (10) | 2022.09.05 |
신화의 시대 고찰: 이집트 신화 (6) | 2022.08.08 |
신화의 시대 고찰: 메소포타미아 신화 (8) | 2022.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