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일강의 문명
동아프리카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형성되어 지중해로 흐르는 나일강은 주기적으로 범람하며 비옥한 토양을 제공했고 나일강을 주변으로 문명이 빠르게 성장하는 것을 도왔습니다. 덕분에 나일강 주변의 문명은 신석기 문명 때부터 놀라운 문명을 이룩했습니다. 특히 나일강 중류 지역에서 성장한 상이집트는 나일강의 다른 문명보다 더 빠른 성장을 이룩했습니다.
- 이집트 통일과 신화
기원전 3600년 전 상이집트가 등장했고 기원전 3500년 전 하이집트가 등장했습니다. 상이집트는 나일강 중류에 자리를 잡아 주기적인 범람과 풍족한 농작물 생산으로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반면 나일강 하류에 자리잡은 하이집트는 나일강 삼각지에 위치했고 하류로 쏟아져나오는 나일강을 막아 둑을 쌓는 제방기술이 발전하지 않아 홍수 재해에 속수무책으로 당했고 상이집트만큼 발전하지 못했습니다. 기원전 3100년 전 힘을 키운 상이집트의 왕 나르메르는 하이집트를 침공해 하이집트를 점령하고 파라오로 등극했습니다. 이후 파라오는 상이집트가 믿던 신인 호루스의 자식으로 여겨져 신과 동등한 대우를 받았고 상이집트의 하이집트 정복 과정을 상이집트가 섬기던 호루스와 하이집트가 섬기던 세트의 대결 신화로 풀어서 전승했습니다. 그 외의 신들도 상이집트의 신과 하이집트의 신을 섞어 함께 후대로 전승되었습니다.
- 파라오의 신화
상이집트가 하이집트를 정복하고 이집트 고왕조 시대를 연 이후 파라오는 이집트의 절대자로 등극했습니다. 파라오는 이집트 사람들을 뭉치게 하기 위해 본인을 신격화하는 전략을 사용했고 파라오는 신의 혈통을 물려받았음을 증명하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파라오의 신격화를 위해 이집트 신화가 본격적으로 정립되었습니다. 이집트 고왕조 시대에 이집트 신화가 등장했고 이집트 신화 세계관에 따르면 파라오는 호루스 신의 자손이며 이시스 여신의 보살핌을 받은 존재였습니다. 파라오는 신들의 자손이라고 주장하며 이집트 신화를 만들어냈고 자신의 권력 유지의 도구로 사용했습니다.
- 시대를 거쳐 보강되는 신화
이집트 신화는 고왕조 시대에 처음 등장했지만 후대에 여러 신들을 합쳐 점점 더 발전해갔습니다. 고대 이집트는 3천년간 수많은 왕조를 거치며 수도를 여러 곳으로 이전했고 이전한 수도에서 예로부터 전해져 온 신화를 받아들이면서 다양한 내용을 가졌습니다. 창세 신화도 여러 도시의 창세신화를 받아들여 다양한 내용이 되었고 신들의 이름도 여러 신의 이름을 받아 다양해졌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태양신 라는 다른 지역에서 숭배받던 케프리, 아툼을 흡수해 아침에는 케프리, 점심에는 라, 저녁에는 아툼으로 숭배받았습니다. 이렇게 이집트 신화는 3천년간 다양한 신을 흡수하며 발전했고 기원전 1100년 신왕조 시대에는 태양신 라(아툼)를 중심으로 하는 유일신 신화로 발전했습니다.
'역사 >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화의 시대 고찰: 로마 신화 (8) | 2022.09.26 |
---|---|
신화의 시대 고찰: 그리스 신화 (10) | 2022.09.19 |
신화의 시대 고찰: 가나안 신화 (10) | 2022.09.05 |
신화의 시대 고찰: 아나톨리아 신화 (4) | 2022.08.22 |
신화의 시대 고찰: 메소포타미아 신화 (8) | 2022.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