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도4 [저멀리 우주로: 실용개발] 가가냐안, 인도의 유인 우주선 계획 디와니 마스타니https://www.youtube.com/watch?v=By2OppXzjbs바지라오 마스타니 ost - 디와니 마스타니 우주로 사람을 보내자2020년까지 우주로 인간을 보내는 것에 성공한 나라는 소련(러시아), 미국, 중국 세 나라 밖에 없습니다. 그만큼 우주로 살아있는 사람을 보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고난이도의 기술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유인우주선에 성공했다는 것 자체가 상당한 우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유인우주선 그 자체가 국가의 명예였습니다.그래서 우주에서 영향력을 과시하는 것을 원하는 인도는 유인우주선 개발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특히 2003년 인도의 경쟁 국가이자 주적인 중국이 선저우 유인우주선神舟으로 인간을 우주에 보내는 것.. 2024. 12. 3. [저멀리 우주로: 실용개발] 찬드리얀과 망갈리얀, 달과 화성으로 간 인도 Matrix ost - Navrashttps://www.youtube.com/watch?v=0ydLf9qDPHYNavras 중국과의 경쟁21세기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는 인도의 가장 큰 적수는 중국이었습니다. 특히 21세기에 들어서 중국이 일대일로를 펼치며 인도를 사방에서 포위하자 인도는 중국의 포위를 뚫고 인도양의 주인이 되기 위해 국력 신장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마침 중국이 21세기에 들어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하자, 인도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동일하게 우주개발에 속도를 냈습니다.그러던 중 2007년 중국이 창어 1호嫦娥一号를 달로 보내자 인도도 질세라 달에 인도 탐사선을 빨리 보내기로 결정했습니다. 중국과 인도 간 달로의 경주가 벌어진 것입니다. 인도의 목표는 중국처럼 달에 탐사선.. 2024. 11. 26.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압둘 칼람이 이끈 인도 우주개발 Shiva Tandava https://www.youtube.com/watch?v=hMBKmQEPNzI 위기에 빠진 인도 1951년 중화인민공화국은 티베트를 합병했으며 명확한 국경을 정하지 않던 티베트가 중국에 합병되면서 히말라야 지대의 중국-인도 국경이 불명확해졌습니다. 그래서 중국과 인도는 1951년 이후로 작은 국경분쟁을 일으켰습니다. 그러다 1959년 달라이 라마 14세가 인도에 티베트 망명정부를 설립하며 중국-인도 분쟁은 본격적으로 비화될 뻔했습니다. 하지만 저우언리아가 소극적으로 나서자 인도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마침 1960년대 인도는 소련과 친밀했는데 친미국가인 파키스탄과 반소국가인 중국 사이에 둘러싸인 인도는 중국과 파키스탄과의 대결에서 승리해 소련과 관계를 더 돈독히 하려는 마음을 품.. 2024. 10. 8. 나라별 명칭과 다른 이름-남아시아 편 인도: 바라트 가느라쟈 우리가 인도라고 부르는 곳은 불리는 명칭이 매우 다양합니다. 인더스 강에서 처음 등장한 이들은 스스로를 “바라트”라고 표현합니다. 이는 이들이 이란에서 인더스 강으로 이주한 전설인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바라타 대왕 휘하의 사람들이 인더스 강으로 이주해 터를 잡았고 그 사람들의 후손은 바라트 대왕의 후손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스스로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바라트라는 표현을 사용해왔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스스로를 바라트라고 지칭하며 인도 아대륙 안에 힌디어, 네팔어, 구자라트어, 벵골어, 마리타어, 마니푸르어, 아삼어, 편자브어 등 다양한 언어가 있지만 그 언어들 모두 그들 전체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바라트”, 혹은 “파라트”라고 표현합니다. 예외는 남인도에서 주로 사용되는 타밀어로 인.. 2023. 1.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