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63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둥펑 5호, 중국이 미국에 겨눈 대륙간탄도미사일 미국과 소련의 전유물 냉전시대가 진행되는 동안 수많은 미사일이 개발되었습니다. 하지만 우주까지 날아오른 뒤 지상을 타격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은 오로지 미국과 소련만 보유했습니다. 또다른 강대국인 유럽 NATO 회원국들은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이 최대였습니다. 이는 소련을 최대한 자극하지 않는 선에서 바르샤바조약기구OBД의 침공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수단이었으며 미국 역시 유럽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보유를 절대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세계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나라는 주로 미국과 소련이었습니다. 영국과 프랑스 역시 목소리를 냈지만 소련에 굴복해야하는 처지였습니다. 영국과 프랑스는 소련의 핵공격을 진심으로 두려워해서 바르샤바조약기구OBД를 견제하는 정도에서 끝냈으며 미국의 핵우산 없이는 소련과의.. 2024. 10. 15.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N-I 로켓, 미국이 통제한 일본 우주개발 북한의 핵개발과 남한, 일본의 핵무장 준비 1950년 한반도에서 한국전쟁이 발발한 후 미군은 한반도에 핵무기 배치를 고민했습니다. 미국 자유주의 진영과 소련 공산주의 진영이 부딫히는 곳은 동북아시아도 포함되었고 미국 자유주의 진영에게 유리한 유럽과 달리 동북아시아는 자유주의 진영은 대한민국과 일본 두 나라 밖에 없는 반면 소련 공산주의 진영은 소련과 중국이라는 강대국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방패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대로라면 자유주의 진영이 위험하다고 생각해 1958년 미군은 대한민국에 핵무기를 배치했습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군의 핵무기 배치에 위기감을 느끼고 소련으로부터 원자력 발전이라는 명분으로 핵무기 기술을 이전받았습니다. 1962년 김일성 체제 하에 핵연구단지를 조성했고 원자력발전.. 2024. 10. 14.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보이저 탐사선, 위대한 항해자 보이저 골든 레코드에 수록된 음성녹음https://www.youtube.com/watch?v=L6zulqXLPUw 골든 레코드에 수록된 Symphony of Science(리믹스) 태양계 너머 먼 우주NASA는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Pioneer 10/Pioneer 11 발사에 성공하면서 목성 너머 세계를 탐구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습니다. 당시 과학자들은 태양계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 전혀 몰랐고 그렇기에 태양계 너머, 정확히 말하면 토성 너머로 탐사선을 보내 확인하고 싶어했습니다. 전세계 천문학자들의 염원을 담아 NASA는 태양계 너머의 세계를 보는 눈을 개발했습니다. 그것이 보이저 탐사선Voyager이었습니다. 보이저 탐사선VoyagerNASA는 외행성의 궤도를 계산한 결과 1976년~1977년.. 2024. 10. 11.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GPS, 우주의 눈 해리 스타일스 - Sign of the timeshttps://www.youtube.com/watch?v=WlphAe9cgHMSign of the times - 해리 스타일스   스푸트니크 위성Спутник-1을 연구하며 알아낸 항법원리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인공위성Спутник-1이 우주를 돌며 전파를 수신하자 리처드 커시너 박사와 연구원들은 스푸트니크 인공위성Спутник-1이 보내는 전파로 스푸트니크 인공위성Спутник-1 위치를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원들은 도플로 효과로 인해 전파 주파수가 변경됨에서 착안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이를 응용해 미국만의 항법위성 구축에 들어섰습니다.리처드 커시너 박사와 연구원들은 미해군의 지원을 받아 실험용 항법위성인 트랜짓 인.. 2024. 10. 10.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치카다Цикада와 글로나스ГЛОНАСС 키노 -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https://www.youtube.com/watch?v=gT6tkYokBDE&list=WL태양이라는 이름의 별 - 키노   인공위성으로 위치를 파악하라1957년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냉전이 한창 진행될 때 소련의 과학자인 셉샤예비치 발렌틴 세메노비치 교수는 인공위성을 통해 인간의 3차원 위치를 파악하는 항법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경험이 있는 군인으로 군인으로서 아군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군 위치를 파악해 전투효율을 높이는 법으로 인공위성 항법을 제안했습니다.셉샤예비치 발렌틴 세메노비치 교수가 제안한 항법위성의 원리는 지상 수신기가 보내는 전파를 항법위성이 받아 다시 전파를 보내고 지상 수신기가 인공위성으.. 2024. 10. 9.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압둘 칼람이 이끈 인도 우주개발 Shiva Tandava https://www.youtube.com/watch?v=hMBKmQEPNzI 위기에 빠진 인도 1951년 중화인민공화국은 티베트를 합병했으며 명확한 국경을 정하지 않던 티베트가 중국에 합병되면서 히말라야 지대의 중국-인도 국경이 불명확해졌습니다. 그래서 중국과 인도는 1951년 이후로 작은 국경분쟁을 일으켰습니다. 그러다 1959년 달라이 라마 14세가 인도에 티베트 망명정부를 설립하며 중국-인도 분쟁은 본격적으로 비화될 뻔했습니다. 하지만 저우언리아가 소극적으로 나서자 인도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마침 1960년대 인도는 소련과 친밀했는데 친미국가인 파키스탄과 반소국가인 중국 사이에 둘러싸인 인도는 중국과 파키스탄과의 대결에서 승리해 소련과 관계를 더 돈독히 하려는 마음을 품.. 2024.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