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나뭇잎, 라Lá
-자소엽 : 라띠아또Lá Tía tô

베트남에서 라띠아또Lá Tía tô, 혹은 그냥 띠아또Tía tô라고 부르는 자소엽은 한자를 보면 자소엽紫蘇葉이라 해서 이파리가 자색紫色을 띄는 차조기(들깨 종에 속하는 식물)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름답게 이파리 색깔이 보라색이에요. 처음부터 보라색은 아니고 어린 잎은 초록색이다 성숙해지며 보라색이 된답니다.

이 이파리는 특이한 자주색 덕분인지 베트남에서는 띠아또Tía tô를 우려낸 느억 라띠아또Nước lá tía tô를 많이 마십니다. 무더운 베트남 여름에 느억 라띠아또Nước lá tía tô에 큼직한 얼음을 넣어 시원한 물로 즐겨 마시더라고요. 혹은 베트남식 빙수인 째Chè에 넣기도 하고요. 보기에 청량감이 있어보여 그렇게 우려 마시나봅니다. 한국의 보리차와 비슷하네요.
-살구나무 잎 : 라모Lá mơ

베트남에서는 은은하니 달콤하고 좋은 향이 나는 살구나무의 이파리를 향채로 사용합니다. 라모Lá mơ라고 부르고요, 살구 열매처럼 부드러운 솜털이 이파리마다 있어 그 솜털에 은은한 향이 베어 나옵니다. 근데 이건 으깨면 냄새가 그리 썩 좋지는 않다고 하네요.

베트남에서는 라모Lá mơ를 계란 부침에 넣어 먹습니다. 쯩찌엔라모Trứng chiên lá mơ라는 음식으로 빈대떡처럼 넓직하게 푼 계란 물에 라모를 층층이 쌓아 부친 뒤 케이크처럼 갈라 먹거나, 한국의 계란말이처럼 라모Lá mơ를 다져 넣고는 두텁게 부쳐 먹습니다. 근데 라모Lá mơ 향이 좀 불쾌해져 베트남에서도 호불호가 갈리는 음식이라네요.
-무화과나무 잎 : 라승Lá sung

베트남 특징이 향기로운 과일나무의 이파리는 다 향채로 먹는다는 점이에요. 무화과나무의 이파리도 먹습니다. 라승이라고 부르고 어린 라승Lá sung은 새콤한 맛이 난다고 하네요. 그런 라승Lá sung을 즐겨 먹는 것이죠.

베트남에서 라승Lá sung을 이용한 대표적인 요리가 돼지 귀 말이 넴따이틴꾸온Nem tai thính cuõn입니다. 베트남 사람들도 오도독한 연골과 물컹한 껍질이 있는 돼지 귀를 좋아해서 돼지 귀를 삶은 뒤 라승Lá sung에 싸 먹습니다. 그런 요리가 넴따이틴꾸온Nem tai thính cuõn입니다.
-라롯 : 라롯Lá lốt

한국어나 영어 등 외국 언어로 번역되지 않는 순수 베트남 지역 향채라 베트남 발음인 라롯Lá lốt 그대로 번역했습니다. 라롯Lá lốt은 덩굴잎으로 큰 이파리 덕분에 베트남 사람들이 쌈을 싸 먹는데 이용하는 향채입니다. 유럽의 양배추나 한국의 연잎과 비슷한 위치에 속하는 향채이죠.

라롯Lá lốt은 베트남 남부 지방에서 많이 이용하는 향채로 북부, 중부 지방에서 라이스페이퍼인 반다Bánh đa로 원통형 쌈을 싸 월남쌈 고이꾸온Gỏi cuốn을 해 먹는다면 남부에서는 보느엉라롯Bò nướng lá lốt을 많이 해 먹어요. 보느엉라롯Bò nướng lá lốt은 다진 소고기를 라롯Lá lốt으로 감싸 튀겨먹는 요리로 한국의 고기말이 요리와 같은 요리이죠.
-라깟 - 라깟Lá cách

중국어로 초우녕쯔臭娘子라고 불리는 라깟Lá cách은 벙깟Vọng cách이라고도 불립니다. 살짝 매콤한 맛이 특징인 향채로 다른 부드럽고 향기로운 향채와 함께 먹는 향채입니다. 매콤하기 때문에 느끼한 음식과 잘 어울리며 보통 길거리에서는 반쎄오Bánh xèo를 싸 먹는 쌈에 같이 들어가더라고요.

그 외에도 각종 고기 요리에 들어가는데 물소 고기에도 라깟Lá cách이 들어가요. 물소 고기를 다진 뒤 라깟Lá cách에 싸 구워먹는 팃보느엉라깟Thịt bò nướng lá cách이 유명합니다. 물소를 베트남어로 팃보Thịt bò라고 하거든요. 그냥 소는 보Bò고요. 위의 보느엉라롯Bò nướng lá lốt은 라롯Lá lốt을 소고기에 말아 먹는 것이죠. 비슷한 요리입니다.
-레몬나무 잎 : 라짠Lá chanh

주변에 가기만 해도 상큼한 신 향이 나는 레몬나무에서 나는 이파리를 딴 걸 라짠Lá chanh이라고 합니다. 라짠Lá chanh은 좀 두텁고 향이 강해 누린내 등 불쾌한 냄새를 확 잡아주고 음식에 향기를 넣어주는 향채입니다. 특히 반으로 자르거나 다지면 상큼한 레몬 향이 더 강하게 나서 몇 개 자르거나 다져 음식에 넣죠. 중국의 월계수와 비슷한 역할을 하네요.

라짠Lá chanh은 고기 요리면 웬만해서는 다 들어가서 특정하지는 못하겠는데 비교적 한국에 잘 안 알려진 음식을 찾자면 닭가슴살을 잘게 찢어 매콤하게 비벼 먹는 코까라짠Khô Gà Lá Chanh이 있습니다. 닭가슴살을 삶은 뒤 잘게 찢어 말리고는 간장과 고춧가루, 각종 어장을 넣어 만든 양념을 부어 비비고 마지막으로 라짠Lá Chanh을 넣어 마무리하는 마른 반찬입니다. 네, 맥주 안주에요. 퍽퍽하고 매콤 새콤해서 베트남에서 인기 있는 맥주 안주랍니다.
- 베트남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대, 까이Cây
-레몬그라스 : 까이사Cây sả

까이사Cây sả 또는 꼬짠Cỏ tranh이라 불리는 향채는 개솔새 종에 속하는 식물로 벼 종의 일종입니다. 근데 뿌리 근처 줄기를 먹어보면 레몬처럼 상큼해서 레몬그라스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이 까이사Cây sả는 인도차이나 반도와 말레이 제도에 번성한 식물로 베트남에서도 즐겨 먹는 향채에요.

베트남에서 까이사Cây sả로 하는 대표적인 요리는 넴루이Nem lụi가 있어요. 베트남 판 케밥이라 해야 할까요? 잘게 다진 돼지고기를 까이사Cây sả에 돌돌 말아 간장 양념에 재워 구워먹는 요리에요. 넴루이Nem lụi는 보통 까이사Cây sả를 분리해 고기만 따로 뺀 뒤 그 고기를 분Bún이라고 불리는 아주 얇은 면과 각종 채소를 반다Bánh đa라는 라이스페이퍼에 싸서 매콤한 고추가루가 들어간 느억 맘Nước mắm에 찍어 먹는답니다. 이 때 돼지고기가 까이사Cây sả와 함께 구워져 고기 즙 사이로 상큼한 까이사Cây sả 향이 나 입안이 즐겁죠. 제가 가장 좋아하는 베트남 음식입니다.
-어성초 : 까이딥까Cây diếp cá

이파리에서 생선 비린내가 난다고 하는 어성초 까이딥까Cây diếp cá는 약모밀이라는 종입니다. 이파리에서 생선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먹어보면 당연히 비린 맛이 나고요, 비누를 씹는 듯한 미끌거림과 살짝 매운 느낌이 나 베트남 사람이 아니면 진입장벽이 높은 향초입니다.

하지만 베트남 사람들은 까이딥까Cây diếp cá를 분짜Bún chả에 넣어 먹는다고 하네요. 근데 저도 베트남에서 베트남 현지인들이 분짜Bún chả에 까이딥까Cây diếp cá를 넣어 먹은 걸 본 적이 없는데.... 베트남에서도 진입장벽이 높은걸까요? 혹은 제가 못 본 걸 수도 있습니다.
- 기타 베트남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향채Rau thơm들
-쿨란트로 : 무이따우Mùi tàu

무이따우Mùi tàu는 미나리 종에 속하는 식물로 베트남과 남중국 일대에서 많이 자라는 식물입니다. 요새는 지구열난화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도 자란다고 하네요. 여튼 무이따우Mùi tàu는 미나리와 비슷한 향 덕분에 국물 요리에 넣으면 향기가 증폭되어 요리에 향을 더합니다.

그래서 베트남에서 보통 퍼Phở에 무이따우Mùi tàu를 넣어요. 퍼Phở 고명 중에 쪽파같이 쏭쏭 썰어져 있는 야채가 무이따우Mùi tàu에요. 그래서 먹어보면 쪽파의 화한 매운 맛이 아닌 미나리의 향기가 난답니다. 그 베트남 쌀국수 특유의 향이 저 무이따우Mùi tàu와 각종 한약재가 섞인 향이에요. 베트남에서 퍼Phở를 주문하면 퍼Phở에 무이따우Mùi tàu가 가득 들어가 있고 거기에 반찬으로 생 무이따우Mùi tàu를 그릇에 수북히 담아서 줘요. 그럼 베트남 사람들은 퍼Phở를 먹으면서 무이따우Mùi tàu도 퍼Phở에 추가로 넣거나 아니면 그냥 생으로 뜯어 먹더라고요.
-딜 : 띨라Thì là

유럽에서 고기 요리에 원없이 넣는 딜은 베트남에서도 향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베트남어로 띨라Thì là라고 하죠. 베트남에서 띨라Thì là는 단백질에 다 넣더라고요. 생선이든 고기든 버섯이든. 심지어 박이나 여주를 토막내 끓인 국에도 띨라Thì là를 넣습니다. 베트남 음식 중 아주 작고 얇은 푸른 풀들이 둥둥 떠 있으면 그게 다 띨라Thì là에요.

얘는 진짜 모든 국 요리에 다 들어가는 향채라 딱히 특정할만한 음식이 없네요. 아예 베트남에서 웬만한 국을 띨라Thì là가 들어간 탕이라는 뜻을 가진 깐띨라Canh thì là라고 부를 정도네요.
-향유 : 낀여이Kinh giới

한국어로 향유라고 불리는 풀 낀여이Kinh giới는 일본에서 시소シソ로 유명한 향채입니다. 다른 말로는 차조기라고 하는 풀이죠. 깻잎과 너무 똑같이 생겼지만 먹어보면 시원하고 화한 향이 확 퍼집니다. 박하처럼 시원하고 화하면서 살짝 알싸한 향이 나는 잎이죠. 그래서 일본에서는 주로 메실 장아찌 우메보시梅干し나 연어덮밥 사케동サケ丼과 같이 먹습니다.

베트남에서는 낀여이Kinh giới를 주로 분짜Bún chả나 분더우맘똥Bún đậu mắm tôm으로 먹습니다. 분짜Bún chả에 비해 맛과 진입장벽 모두 높은 분더우맘똠Bún đậu mắm tôm은 오래 삭힌 새우 액젓인 맘 똠Mắm tôm에 어묵 튀김, 짜조Chả giò, 돼지 귀, 두부 튀김, 돼지 내장 등 여러 부산물 튀김을 찍어 먹는 음식이에요. 맘 똠Mắm tôm이 오래 삭힌 액젓이다보니 꾸릿한 냄새도 나고 엄청 짜고 비려서 진입장벽이 높지만 그만큼 감칠맛이 아주 끝내준답니다. 그럼에도 맘 똠Mắm tôm의 냄새가 너무 진해서 베트남 현지 사람들은 입안을 정화하는 낀여이Kinh giới를 반드시 같이 먹더라고요.
-양강 : 리엉Riềng

한방에서 씨앗을 홍두구라고 부르는 식물 양강은 생강 종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그리고 베트남에서는 이걸 리엉Riềng이라고 부르죠. 리엉Riềng은 생강처럼 아주 강한 화한 향이 나기 때문에 고기 구이에 많이 넣습니다. 중국과 한국이 고기 구이나 갈비에 생강을 왕창 넣듯이요.

베트남도 똑같습니다. 베트남 어장과 간장으로 양념을 만든 뒤, 그 양념에 리엉Riềng을 넣고는 고기에 발라 구워 먹습니다. 대표적인 요리는 짜팃해오느엉Chả thịt heo nướng으로 베트남어로 돼지를 뜻하는 해오Heo로 만든 대표적인 요리입니다. 짜팃해오느엉Chả thịt heo nướng은 딱 돼지불고기입니다. 진짜 그 맛이에요. 분짜Bún chả 좋아하시는 분은 분짜Bún chả에 나오는 고기로 많이 먹었을 그 요리입니다. 베트남의 대표 요리이죠.
'세계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강의 요리 난이도 싼부쨘三不粘 (19) | 2025.03.27 |
---|---|
미국 중심 속 고기의 고장 텍사스로 (15) | 2025.03.24 |
싱그러운 향을 품은 베트남 향채들 - 1편 (63) | 2025.03.10 |
전세계의 날고기 요리 (57) | 2025.02.20 |
차茶의 나라 중국에서 만나는 명차名茶 (50) | 2025.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