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이저 골든 레코드에 수록된 음성녹음
https://www.youtube.com/watch?v=L6zulqXLPUw
- 태양계 너머 먼 우주
![태양계 너머 우주](https://blog.kakaocdn.net/dn/rVdJ1/btsq2PdMVB0/sIQ8VpwuvkiyTsmZVmtDWk/img.jpg)
NASA는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Pioneer 10/Pioneer 11 발사에 성공하면서 목성 너머 세계를 탐구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습니다. 당시 과학자들은 태양계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 전혀 몰랐고 그렇기에 태양계 너머, 정확히 말하면 토성 너머로 탐사선을 보내 확인하고 싶어했습니다. 전세계 천문학자들의 염원을 담아 NASA는 태양계 너머의 세계를 보는 눈을 개발했습니다. 그것이 보이저 탐사선Voyager이었습니다.
- 보이저 탐사선Voyager
![보이저 경로](https://blog.kakaocdn.net/dn/O6SrP/btsq5eqYzaO/8KLk3zkfGN5OjddlTiXQI1/img.jpg)
NASA는 외행성의 궤도를 계산한 결과 1976년~1977년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비교적 근접한다는 계산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한번에 탐사할 탐사선으로 보이저 탐사선Voyager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NASA는 보이저 1호Voyager 1은 목성과 토성만 탐사하고 먼 우주로 나아가고 보이저 2호Voyager 2은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모두 탐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특히 태양으로부터 너무 멀어 느리게 공전하는 천왕성과 해왕성은 이 기회를 놓치면 다 따로 탐사해야 했기에 NASA는 천왕성과 해왕성이 가까이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 보이저Voyager 발사
![보이저 2호 발사](https://blog.kakaocdn.net/dn/bzDIUa/btsqZy5COLQ/2agxmDx0pIuIi7YDyxCRq0/img.jpg)
NASA는 계산결과 보이저 2호Voyager 2를 먼저 발사해야 천왕성과 해왕성을 관측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왔고 보이저 2호Voyager 2를 먼저 발사했습니다. NASA는 1977년 8월 20일 보이저 2호Voyager 2 먼저 발사했고 1977년 9월 5일 보이저 1호Voyager 1를 발사했습니다. 보이저 2호Voyager 2와 보이저 1호Voyager 1은 각각의 목표를 향해 공허한 우주를 항해했습니다.
- 보이저 1호Voyager 1의 탐사
![보이저 1호](https://blog.kakaocdn.net/dn/cmdpvm/btsq1dflZe2/3OoRaKNkaG18GXaFooB8h1/img.jpg)
보이저 2호Voyager 2가 먼저 발사되었지만 목성에 먼저 접근한 것은 보이저 1호Voyager 1였습니다. 보이저 1호Voyager 1은 1979년 1월 6일 목성에 도착했습니다. 보이저 1호Voyager 1은 1월 6일 목성을 촬영하고 가까이 접근했습니다. 1979년 3월 5일 목성 위성계에 도달해 목성과 위성들을 촬영하고 그 사진을 NASA로 보냈습니다. 1979년 4월 13일에 목성탐사를 마치고 토성으로 이동해 1980년 11월 12일부터 1980년 12월 14일까지 토성을 탐사했습니다.
- 보이저 1호Voyager 1가 촬영한 가족사진
![가족사진](https://blog.kakaocdn.net/dn/4oZym/btsq6933FJd/YasAiO1UnMhkMxKHotzbiK/img.jpg)
보이저 1호Voyager 1의 사진촬영을 담당한 칼 세이건은 보이저 1호Voyager 1로 태양계 행성들을 촬영하자고 NASA 직원들을 설득했고 1990년 보이저 1호Voyager 1가 태양계 아래로 항해할 때 태양빛이 잘 보이지 않는 점을 이용해 사진을 촬영했습니다. 수성은 태양과 너무 가까워 태양빛 때문에 촬영이 불가능했고 화성은 강한 태양빛 반사 때문에 촬영할 수 없었지만 그 외 행성들은 촬영이 가능했습니다.
![창백한 푸른 점](https://blog.kakaocdn.net/dn/eUHn2G/btsq0u9kAJo/5YZWhOWiH1tRTlU11hbH5K/img.jpg)
그 중 지구를 찍은 사진이 있었는데 칼 세이건은 지구를 찍은 사진을 보고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이라 부르며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칼 세이건은 우주에서 작은 점 밖에 불과한 지구 안에서 인간들은 서로 다투고 싸운다며 많은 이들이 대단한 인간이라고 생각하지만 우주에서 우리는 작고 보잘 것 없는 존재에 불과하다는 평을 남겼습니다.
- 보이저 2호Voyager 2의 항해
![보이저 2호가 찍은 토성](https://blog.kakaocdn.net/dn/0UOO3/btsqZbvXb7o/lMCuksYok9DTmh2E93DhJ1/img.jpg)
한편 보이저 2호Voyager 2는 천왕성과 해왕성을 향해 항해를 진행했습니다. 보이저 2호Voyager 2는 1979년 7월 8일 목성계에 진입해 목성과 위성을 촬영하고 1979년 8월 5일 목성을 지나쳐 토성으로 이동했습니다. 1981년 8월 22일 토성계에 진입해 토성에 가까이 진입한 후, 1981년 9월 25일 토성을 벗어났습니다.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천왕성](https://blog.kakaocdn.net/dn/7fWAR/btsq8LBWfeJ/LohgmSQmT9K4VYu3ISfcEK/img.png)
이후 1986년 1월 24일 천왕성계에 도착했습니다. 인류는 천왕성부터는 어떻게 생겼는지 짐작마저 못하던 미지의 행성으로 NASA 직원들은 보이저 2호Voyager 2가 촬영한 천왕성 사진을 보고 영롱한 하늘색에 감탄했습니다. 보이저 2호Voyager 2는 처음으로 천왕성을 촬영했으며 1986년 2월 25일 천왕성 촬영을 마치고 해왕성으로 떠났습니다.
![해왕성](https://blog.kakaocdn.net/dn/bnX5UU/btsq0E5iroO/SSM9HUkI0a0leKIkqqXZNK/img.jpg)
1989년 8월 25일 보이저 2호Voyager 2는 해왕성에 도착했습니다. NASA 직원은 물론 모든 인류는 보이저 2호Voyager 2가 촬영한 파란 해왕성 모습에 감탄했습니다. 보이저 2호Voyager 2는 1989년 8월 25일부터 1989년 10월 2일까지 해왕성을 관찰하며 자료를 지구로 보냈고 인류는 미지의 세계인 천왕성과 해왕성에 대해 큰 자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 위대한 항해자의 영원한 항해
![골든 레코드](https://blog.kakaocdn.net/dn/b1usKX/btsq2Qqd5Lh/DwhqxMITwA5JzwMqIARm60/img.jpg)
보이저 1호Voyager 1과 보이저 2호Voyager 2는 임무를 마치고 태양계 너머 먼 우주로 항해했습니다. NASA는 만일 외계문명이 보이저 1호와 2호Voyager 1/2를 바견할 경우를 대비해 외계문명에게 지구와 인류문명을 소개할 장치를 보이저 1호와 2호Voyager 1/2에 탑재했습니다. 그것은 골든 레코드로 수메르어부터 시작해 현재 인류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녹음한 기록판이었습니다. 보이저 1호와 2호Voyager 1/2는 인류문명을 소개하는 작은 금판을 품고 우주로 나아갑니다.
![먼 우주로 항해하는 보이저 탐사선](https://blog.kakaocdn.net/dn/bjipZB/btsq094VHor/YHxZbdV4pV9AyI4uGlq9jk/img.png)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2호Voyager 2를 시작으로 보이저 탐사선들은 태양계를 벗어났습니다. 보이저 탐사선들은 태양계 내에서는 태양풍을 바람삼아 나아갔지만 태양계를 벗어난 후 태양풍이 없는 상태에서 느리게 태양계 밖을 항해하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 지구와의 통신이 끊겼고 지금도 보이저 탐사선들은 골든 레코드를 품은 체 먼 우주로 항해하고 있습니다.
'기술공학 > 저멀리 우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둥펑 5호, 중국이 미국에 겨눈 대륙간탄도미사일 (36) | 2024.10.15 |
---|---|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N-I 로켓, 미국이 통제한 일본 우주개발 (34) | 2024.10.14 |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GPS, 우주의 눈 (52) | 2024.10.10 |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치카다Цикада와 글로나스ГЛОНАСС (38) | 2024.10.09 |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압둘 칼람이 이끈 인도 우주개발 (45) | 2024.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