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연쇄적인 바이러스 감염
척추동물은 생물학적 양상이 비슷하기에 바이러스들은 척추동물이라면 가리지 않고 감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종을 뛰어넘어 바이러스를 감염시킬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독감바이러스는 철새, 닭, 오리, 돼지, 인간을 숙주로 삼아 여기저기 확산합니다. 그 중 일부 척추동물은 바이러스가 잠식하는 장소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 쥐를 통한 감염
엄청난 번식력을 자랑하며 생태계 최하위에 위치한 쥐는 바이러스들이 좋아하는 생물입니다. 또한 땅바닥을 기어다니는 습성 때문에 공기, 토양, 물, 식물, 곰팡이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 감염이 매우 쉽습니다. 그렇기에 쥐는 여러 바이러스들이 서식하는 숙주이며 활동성이 뛰어난 쥐가 여기저기 다니며 바이러스를 전파합니다.
- 박쥐를 통한 감염
박쥐는 독특한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동물들은 바이러스 침입을 감지하면 고열을 내고 면역세포가 바이러스를 소탕하려고 해 바이러스가 빨리 복제한 후 빠져나가려는 전략을 사용하는데 박쥐는 바이러스가 침입해도 먼역체계가 가만히 있습니다. 그래서 바이러스도 침입 후에도 감염시키지 않고 한구석에 조용히 있습니다.
그러다 박쥐가 다른 동물과 접촉하거나 과일을 먹으면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로 이동해 그 생물을 감염시킵니다. 박쥐와 바이러스는 공생관계를 유지해 바이러스는 박쥐 몸에 잠시 숨어있는 대신 박쥐에 해를 가하지 않고 대신 다른 생물을 감염시키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그렇기에 박쥐 안에는 수많은 바이러스들이 존재합니다.
반응형
'생물 > 바이러스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러스학: 바이러스 개괄] 식물 바이러스 감염방식 (57) | 2024.01.12 |
---|---|
[바이러스학: 바이러스 개괄] 접촉성 바이러스 감염 (36) | 2024.01.12 |
[바이러스학: 바이러스 개괄] 곤충과 바이러스 (17) | 2024.01.11 |
[바이러스학: 바이러스 개괄] 흔한 바이러스 감염방식 (58) | 2024.01.10 |
[바이러스학: 바이러스 개괄] 세포 밖으로 나가는 바이러스 (35) | 2024.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