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스식 해석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여러 문명과 교류하며 그들의 문명을 그리스 문화에 대입해 해석했습니다. 예를 들어 고대 이집트 왕국의 수도 룩소르를 그리스 도시 테베로 대입해 테베라고 부르거나 이집트의 셰세프앙크를 그리스 신화 속 괴물인 스핑크스라고 부르는 등 사례가 많습니다.

그리스인들은 최고신을 제우스로 믿었기에 다른 문명에서 최고신으로 여기는 신을 제우스와 동일시여겼습니다. 그리스가 일찍이 교류하던 고대 이집트는 당시에 숫양 머리를 가진 아문을 최고신이자 유일신으로 섬겼는데 그리스인들은 이를 보고 아문을 제우스로 해석했습니다. 스파르타는 제우스와 아문을 같은 신으로 여겼습니다.
- 헬레니즘 제국

고대 그리스 시기에는 그리스 안에서만 그리스식 해석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출신인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계를 정복하며 헬레니즘 제국을 건국했고 그리스식 해석도 그리스-이집트-페르시아 제국을 아우르는 헬레니즘 제국 안에 퍼졌습니다.
- 헬레니즘 습합신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헬레니즘 제국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스 신과 토착신을 융합하는 습합신들을 만들었습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포톨레오마이오스 왕조는 처음에는 제우스와 아문을 합쳐 제우스에 뿔이 달린 제우스-아문 습합신을 만들었지만 이집트와 그리스 모두에게서 외면받아 실패했고 신성한 황소 아피스와 오시리스에 제우스를 습합한 세라피스를 만들어 성공했습니다. 더불어 이집트에서 최고여신으로 숭배받은 이시스를 그리스의 여신들과 습합한 이시스도 성공해 포톨레오마이오스 왕조의 양대 신으로 세라피스와 이시스가 숭배받았습니다.

그리고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은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하는 제국으로 아후라 마즈다를 섬겼는데 헬레니즘 제국에 들어서 제우스와 아후라 마즈다를 습합한 제우스-오로마즈드로 습합되었습니다. 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이란에 세워진 셀레우코스 제국이 믿는 유일신이 되어 조로아스터교도들이 한때 제우스-오로마즈드를 믿게 했습니다.
- 헬레니즘 종교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분열된 헬레니즘 제국은 각기 토착신에 그리스신을 습합해 살아남았습니다. 그리고 제국이 안정되자 헬레니즘 종교가 본격적으로 출발했습니다. 헬레니즘 종교는 초월적 존재가 구원해주기를 바라는 기복신앙이었습니다. 헬레니즘 종교의 기본바탕은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이었는데 헬레니즘 종교는 현실에 이데아를 실현하는 것에 접근하기보다는 그 이데아에 가는 방법을 탐미했습니다.
- 조로아스터교와 헬레니즘 종교

헬레니즘 제국은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을 흡수하며 그리스 종교를 전했는데 동시에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국교인 조로아스터교 역시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면서 세계를 선과 악의 대결이라는 세계관을 받았습니다. 이는 당장 종교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중요하게 여긴 그리스 종교를 선과 악의 차이로 확장하는데 영향을 제공했습니다.
'역사 > 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의 이해: 아브라함 종교] 유대교 학파 (18) | 2023.10.30 |
---|---|
[종교의 이해: 베다] 우파니샤드, 궁극적인 진리 (39) | 2023.10.27 |
[종교의 이해: 아브라함 종교] 토라 (22) | 2023.10.25 |
[종교의 이해: 아브라함 종교] 모세와 십계명 (20) | 2023.10.24 |
[종교의 이해: 조로아스터교] 조로아스터교 (20) | 2023.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