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술공학111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바이킹, 화성을 탐사하라 Coldplay - The Scientisthttps://www.youtube.com/watch?v=s72Ip8qKf9kThe Scientist - Coldplay 소련이 정복에 실패한 화성소련과 NASA 과학자들은 이전에 보낸 탐사선으로 금성과 화성의 대략적인 환경을 파악했습니다. 그리고 금성은 고열고압 때문에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환경으로 생각했고 화성은 대기는 옅지만 존재하며 극지방에 얼음 형태로 물이 있기에 어쩌면 생명체가 살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소련과 미국은 화성으로 눈을 돌렸습니다.소련 과학자들은 수차례 마스 화성탐사선Mapc을 보내 화성을 탐사했습니다. 1971년 마스 3호Mapc-3가 처음으로 화성에 도착했지만 몇초 후 지구와의 통신이 두절되어 실패했습니다. 이후 마스 4.. 2024. 10. 7. 스마트 안경 시대를 준비하는 소프트웨어들 Meta Orion과 스마트 안경으로 무엇을 하나2024년 9월 25일 Meta는 Meta Orion이라는 스마트 안경을 보여주며 전세계의 주목을 받았어요. Meta Orion은 증강현실을 이용해 타인과 간단한 핑퐁 게임을 하는 장면과 인공지능을 이용해 현실 사물을 파악하는 기능을 선보이며 Meta Orion의 기능을 보여줬어요. 이는 놀라운 기능인데, 한편으로는 기능 자체의 혁신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재미"가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네요.신기술, 특히 IT 쪽은 하드웨어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그 하드웨어로 어떤 "편하고 재미있는" 일을 할 수 있는지 소프트웨어가 중요해요. 그걸 알 수 있는 적절한 예시가 3D TV입니다. 3D TV는 2009년 영화 아바타가 개봉하며 3D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등.. 2024. 10. 5.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아폴로-소유즈 도킹, 우주 데탕트 랑데뷰Rendez-Voushttps://www.youtube.com/watch?v=YUPTpXt6620 장 미셸 자르-랑데뷰(커버) 베트남 전쟁이 냉전을 바꾸다1945년 시작된 냉전은 1948년 베를린 봉쇄로 관계가 살벌해지고 1950년 한국전쟁으로 첫 대결을 벌였습니다. 하지만 한국전쟁은 미국의 자유진영과 소련의 공산진영이 서로를 이기지 못하고 휴전하며 흐지부지 끝났습니다. 이후로 전세계 각지에 쿠데타와 내전이 일어나며 미국과 소련 두 강대국의 냉전은 작은 나라에서 전쟁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냉전의 절정은 1955년부터 슬슬 시작해 1964년 8월 2일 통킹만 사건으로 발발한 베트남 전쟁이었습니다.1964년 베트민이 베트남 공산화를 선포하자 미국은 무력으로 베트남 공산화를 저지하려고 했습니다. .. 2024. 10. 4.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스카이랩, 미국도 우주정거장에 뛰어들다 You are not alonehttps://www.youtube.com/watch?v=1cuHw0TgEpY&list=WL&index=4마이클 잭슨 - You are not alone 아폴로 계획 후 향후계획1970년대 초 NASA 직원들은 곤경에 빠졌습니다. 1969년 아폴로 11호를 시작으로 여러 아폴로 유인달탐사선을 우주로 보냈지만 달이 수억 달러를 퍼부울 정도로 가치있는 장소가 아니었기에 소련을 꺾었다는 자존심 하나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여론이 많았습니다. NASA 안에서도 이에 암묵적으로 동의했고 달의 가치를 어떻게든 발견하기 위해 달에 땅을 파 시료를 채굴하기도 했지만 지질학자들은 그냥 먼지일 뿐 달이 쓸모있는 곳이 아니라고 단언하며 달탐사의 동기는 점점 옅어졌습니다. 정부 역시 아폴로 계획을.. 2024. 10. 3.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살류트 계획, 소련의 또다른 도전 언제나 너의 곁에 있을게Всегда буду с тобой https://www.youtube.com/watch?v=btrV1r2L9QoВсегда буду с тобой 미국에게 빼앗긴 달세르게이 코롤료프는 열심히 H1 발사체를 개발했지만 번번히 실패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의 염원을 이루지 못하고 1966년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사후 후임이 그의 뒤를 이어 H1 발사체를 연구했지만 너무 무거운 1단 추진체를 제어하지 못해 실패했고 결국 1969년 미국에게 달착륙을 허용했습니다. 소련 과학자들은 아폴로 11호Apollo 11이 달에 착륙하자 H1 개발을 중단했습니다. 소련의 자존심그동안 소련 정부는 우주개발을 공산주의 체제 선전용으로 활용하기만 할 뿐 진짜로 우주를 개발할 생각은 없었습니다... 2024. 10. 2. [저멀리 우주로: 우주경쟁] 아리안 1호, 유럽독자 발사체 에디뜨 삐아프 - Non Je Ne Regrette Rienhttps://www.youtube.com/watch?v=1FdUxIp0GX0에디뜨 삐아프 - Non Je Ne Regrette Rien 프랑스의 발사체프랑스는 1965년 디아망 A 발사체Diamant A를 처음 개발해 아스테릭스 인공위성Astérix을 우주로 보냈습니다. 이후 1966년 디아파송 인공위성을 발사하는데 성공했고, 1970년부터 디아망 B 발사체Diamant B를 개발해 많은 인공위성을 우주로 발사했습니다. 그래서 유럽우주국ESA는 처음에는 프랑스의 디아망 B 발사체Diamant B를 유럽우주국ESA 독자 발사체로 이용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디아망 B 발사체Diamant B는 크기가 작아 큰 인공위성을 탑재할 수 없었기에 새로.. 2024. 10. 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