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술공학/저멀리 우주로101

[저멀리 우주로: 우주를 향한 꿈] V2 로켓, 전쟁으로 주목받은 로켓 필립 디트베르너 - 너의 작은 세상에서In deiner kleinen welthttps://www.youtube.com/watch?v=qnU2ZTXlKYYIn deiner kleinen Welt 로켓을 사랑한 베르너 폰 브라운1912년 비르지츠에서 태어난 베르너 폰 브라운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비르지츠가 폴란드 제2공화국 영토가 되자 베를린으로 이주해 유년시절을 보냈습니다. 당시에는 로켓 개념과 연구가 꽤 진행된 시점이었고 일반인들도 로켓이라는 도구에 대해 대충 알던 시기였으며 베르너 폰 브라운은 사제 로켓 장난감을 만들며 놀았습니다. 그리고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보며 우주를 탐구했고 김나지움 학생으로 베를린 공과대학에 입학했습니다.그곳에서 그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로켓공학 선구자인 헤르만 오베르트의 .. 2024. 8. 9.
[저멀리 우주로: 우주를 향한 꿈] 고다드, 꿈에서 희망으로 Panic! At the Disco - High Hopes https://www.youtube.com/watch?v=tvdoDwwSf4Q&t=40s High Hopes 침대에서 우주를 꿈꾼 소년 1882년 태어난 로버트 허칭스 고다드는 선천적으로 허약해 지병을 앓았고, 유년시절을 침대에서 투병하며 보냈습니다. 그리고 침대에서 그는 "우주전쟁The War of the Worlds"를 읽으며 드높은 우주를 동경했고 우주비행을 꿈꿨습니다. 당대 사람들은 우주비행이란 그저 소설의 내용일 뿐 실제로 우주비행을 하겠다하면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취급했지만 로버트 고다드는 우주에 가겠다는 꿈을 잃지 않았습니다. 꿈을 향해 나아간 고다드 로버트 고다드는 고등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고등학교 졸업식 축사에서 이런 말.. 2024. 8. 8.
[저멀리 우주로: 우주를 향한 꿈] 치올콥스키, 우주선을 꿈꾼 천재 아나 로락 - 주황빛 꿈Oранжевые сны https://www.youtube.com/watch?v=jXjK5WH5XO8 Oранжевые сны 아이작 뉴턴의 사고실험 뉴턴 3법칙을 확립한 아이작 뉴턴은 운동법칙과 만유인력 법칙의 기틀을 세웠고 이를 합쳐 이론적으로 인간이 땅바닦에서 벗어날 방법을 사고했습니다. 뉴턴은 만일 거대한 대포알을 매우 빠른 속도로 발포하면 그 대포알의 속도에 따라 운동력과 만유인력 사이의 합 격차 때문에 종국에는 지구를 벗어날 수 있을거라는 사고 실험을 했습니다. 문제는 실제로 그 속도의 물체를 만든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러시아 제국의 천재 과학자 치올콥스키 아이작 뉴턴 이후 오랫동안 인류는 별하늘을 바라보며 이 별하늘에 도달하는 꿈을 꾸었습니다. 그러나 .. 2024. 8. 7.
[저멀리 우주로: 우주를 향한 꿈] 원대한 우주, 그 품으로 밤하늘과 동심https://www.youtube.com/watch?v=xyhxeo6zLAM 반짝반짝 작은별 모차르트 변주곡 동경과 모험심을 불러온 밤하늘낮이 가고 어둠이 오면 검은 하늘 위로 별이 반짝입니다. 검고 푸른 하늘 위로 뜬 별들은 반짝이며 천천히 움직이며 장엄함을 선사합니다. 지상의 인간은 크고 환한 태양이 지고 뜬 검고 신비로운 세계를 동경했으며 유난히 밝은 별들을 연결하고 이에 대한 이야기를 부여했습니다. 그러나 먼 옛날 인간들은 별들 세상이 무엇인지 몰랐고 그저 하늘 위에 별이 박혀있다고 생각했습니다.그리고 사람들은 하늘 위에도 천장이 분명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그 천장까지 간다면 별을 따고 달에 도착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 누구도 감히 드높은 천장으로 갈 생각을 못했는데.. 2024. 8. 6.
[저멀리 우주로: 프롤로그] 영광과 희망과 미래를 담은 우주개발 우주와 인류 https://www.youtube.com/watch?v=9RvZ1jyjwFA 콜드플레이 - A Sky full of Stars 미지와 신비로 가득 찬 우주 인류는 매일 뜨는 밤하늘을 보며 찬란한 별나라 세계를 동경했습니다.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을 보며 검은 하늘 위에 뜬 보석을 사랑했고 별자리를 만들어 이야기를 불어넣었습니다. 그리고 어릴 때 누구나 밤하늘의 아름다운 별나라 세계를 가는 것을 꿈으로 꾸었습니다. 수세기 동안 별이 쏟아지는 밤하늘로 간다는 것은 어릴 적 낭만으로 그쳤지만 기술이 발전하며 밤하늘의 베일을 차차 벗겨냈습니다. 인류는 과학혁명 이후 실험과 관찰을 통해 지구 대기권 밖에 검고 공허한 세계를 밝혀냈으며 태양과 달과 다른 별들이 그 세계에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그러나 수.. 2024. 8.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