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음식

차茶의 나라 중국에서 만나는 명차名茶

by 롱카이 2025. 2. 13.
반응형
  • 차나무와 차茶
차나무
차나무

중국 남서부 윈난성, 쓰촨성, 구이저우성, 아쌈 지방의 산악지대에 자라는 차나무는 얼핏 보면 평범한 나무입니다. 하지만 차나무의 이파리는 특유의 그윽하고 은은한 향이 있어 아주 오래 전 쓰촨성 일대의 중국인에게 주목을 받았습니다. 중국 토양은 황토이고 지반은 석회암이었기에 중국의 지하수와 강은 황토와 석회수에 뒤덮혀 오염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물을 그냥 먹으면 냄새도 심하고 입 안으로 황토와 석회 침전물이 들어왔습니다.

찻잎을 물에 넣어 끓인 차
찻잎을 물에 넣어 끓인 차

때문에 중국인들은 문명 초창기부터 물을 끓여 침전물을 아래로 가라앉힌 후 윗부분의 물만 떠서 마셨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작은 흙알갱이는 위에 여전히 남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때 찻잎을 함께 넣고 끓이면 찻잎이 작은 흙알갱이와 석회 불순물 등을 함께 아래로 침전시키는 걸 발견했습니다. 그렇게 찻잎을 넣고 끓인 물의 윗부분은 불순물이 없는 맑은 물이 되었습니다. 거기에 찻잎의 그윽하고 강한 향은 흙냄새가 심한 물냄새를 잡고 은은한 향을 줬습니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찻잎을 따 끓여 물을 섭취했습니다. 그리고 찻잎을 함께 넣어 끓인 물을 차茶라고 불렀습니다.
 
 
 

  • 중국의 명차名茶
중국은 찻잎을 가공했고 가공법에 따라 차 종류가 다양해졌다
중국은 찻잎을 가공했고 가공법에 따라 차 종류가 다양해졌다

시간이 흘러 찻잎을 오래 보관하고 향을 더 좋게 하는 발효법이 발달했고, 찻잎을 어떻게 가공하냐에 따라 차의 종류가 달라졌습니다. 그래서 지금 중국에는 수많은 차茶들이 존재하고 있죠. 지역 별로 다양한 차茶들이 존재해 모든 차茶를 다 살펴보고 맛보는 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중국에 있는 수많은 차茶 중 몇가지 유명한 명차名茶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 중국을 대표하는 뤼차绿茶
녹차
뤼차

뤼차绿茶(녹차)는 차나무에서 딴 찻잎을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넣어 끓인 차茶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차茶이고 가볍고 깔끔한 맛이 생명인 차茶이죠. 뤼차绿茶는 생 찻잎 그 자체로 승부하는 차茶라 찻잎 그 자체가 매우 중요한 차입니다. 뤼차绿茶 종류는 매우 많지만 몇가지 좀 골라보자면 아래와 같아요. 물론 그 외에도 아주 많은 명품 뤼차绿茶가 있답니다.
 
-동팅비루춘洞庭碧螺春(동정 벽라춘)

동팅비루춘
동팅비루춘

장쑤성 쑤저우苏州에는 타이후太湖라는 거대한 호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호수 인근에 둥팅산洞庭山이 있는데 그 산에서 타이후太湖의 맑은 물을 먹으며 자란 차나무의 찻잎을 춘분에 따 그 찻잎으로 만든 차茶가 비루춘碧螺春입니다. 특히 청명 이전에 찻잎을 따 그 찻잎으로 끓인 차를 동팅비루춘洞庭碧螺春이라고 하죠. 뤼차绿茶치고는 화려한 향이 특징입니다.
 
-시후롱칭西湖龙井(서호 용정)

시후롱칭
시후롱칭

저장성 시후西湖 인근의 롱칭춘龙井村에서 생산하는 시후롱칭西湖龙井은 험준한 산맥 골짜기 사이를 일년 내내 덮는 두꺼운 물안개를 마시며 자란 찻잎으로 끓인 뤼차绿茶입니다. 옛날에는 롱칭춘龙井村에서만 생산하는 걸 시후롱칭西湖龙井으로 인정했는데 적은 생산량 때문에 요새는 그 일대에서 생산하는 걸 다 시후롱칭西湖龙井으로 칭하더라고요. 은은한 향과 달콤한 맛, 부드러운 목넘김으로 유명한 뤼차绿茶입니다.
 
-황산마우펑黄山毛峰(황산모봉)

황산마우펑
황산마우펑

안휘성 황산黃山의 해발 1000m 일대에서 자란 차나무의 찻잎으로 만든 황산마우펑黄山毛峰은 작고 촘촘한 은빛 털이 찻잎을 뒤덮어 우리면 약간 바이차白茶처럼 하얀 것이 특징인 뤼차绿茶입니다. 안휘성의 대표 차茶 중 하나라고 하네요.
 
-루안과편六安瓜片(육안 과편)

루안과편
루안과편

루안과편六安瓜片 역시 안휘성의 대표 뤼차绿茶로 찻잎이 돌돌 말려져 있는 모습이 마치 오리 주둥이를 닮았다 해서 과편瓜片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해요. 루안과편六安瓜片은 솥에서 끓여 소독한 후 숯불에 구워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탄생하는 뤼차绿茶라고 합니다.
 
 
 

  • 중국을 대표하는 칭차靑茶
칭차
칭차

우롱차乌龙茶로 잘 알려진 칭차靑茶는 중국 남부 푸젠성, 광둥성, 타이완 일대에서 많이 생산하고 소비하는 차로 특유의 맑고 깨끗한 빛깔 때문에 칭차靑茶라고 불립니다. 칭차靑茶는 뤼차绿茶를 살짝 발효시킨 차茶로 명나라 말기에서 청나라 초기 중국 남부지방에서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칭차靑茶의 찻잎은 까마귀처럼 검고 용이 똬리를 튼 것 같다고 해 우롱차乌龙茶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죠.
 
-안시톈관인安溪铁观音(안계 철관음)

안시톈관인
안시톈관인

푸젠성 안시安溪에서 생산한 안시텐관인安溪铁观音은 전설이 있는 차茶입니다. 옛날에 차茶를 재배하는 어진 사람이 있었는데 어느 밤 그의 꿈에서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그가 재배하는 차茶는 약차이니 웨이인차魏蔭茶라고 이름지으라 해 웨이인차魏蔭茶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한동안 웨이인차魏蔭茶라고 불리다 청나라 초기 건륭제로부터 찻잎의 모양이 관세음보살과 같고 맛이 철처럼 무겁다 해 톈관인溪铁观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아 안시톈관인安溪铁观이라는 이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우이다홍파오武夷大红袍(우이 대홍포)

우이다홍파오
우이다홍파오

푸젠성 우이산武夷山에서 생산되는 우이다홍파오武夷大紅袍는 칭차靑茶임에도 마치 홍차红茶처럼 색이 붉은 것이 특징인 차茶입니다. 송나라 때부터 우이산武夷山에 차茶 빛깔이 유난히 붉은 차나무가 등장해 귀중히 여겨 재배했다고 하며 명나라 때 왕후의 병을 치료해 다홍파오大紅袍라는 명칭을 하사받았다고 하네요.
 
 
 

  • 중국을 대표하는 바이차白茶
바이차
바이차

차나무의 찻잎은 어린 새싹일 때는 흰 솜털로 뒤덮여 있습니다. 그 어린 찻잎을 따 별도의 가공과정을 거치지 않고 시들게 한 뒤 그대로 건조시켜 차茶를 우리면 빛깔이 하얀 차茶가 나온다고 합니다. 그것이 바이차白茶로 푸젠성이 바이차白茶로 유명한 고장입니다.
 
-바이하오인전白毫银针(백호은침)

바이하오인전
바이하오인전

푸젠성 푸딩福鼎과 정허政和에서 생산하는 바이하오인전白毫银针은 어린 찻잎의 하얀 솜털이 마치 은빛 바늘처럼 뾰족하고 촘촘하다고 해서 바이하오白毫(하얀 솜톨) 인전银针(은빛 바늘)을 합쳐 바이하오인전白毫银针으로 불립니다.
 
 
 

  • 중국을 대표하는 황차黃茶
황차
황차

황차黃茶는 뤼차绿茶에 건조과정을 하나 더 추가해 만든 차茶로 고온의 증기를 찻잎에 불어넣어 차 내부에서 화학반응을 유도하는 식으로 가공을 한다고 합니다. 이 과정을 거친 황차黃茶는 단맛이 강하고 누런 빛깔이 특징인 차茶입니다.
 
-쥔산인전君山银针(군산 은침)

쥔산인전
쥔산인전

후난성 둥팅후洞庭湖 한가운데에 있는 쥔산君山에서 생산한 쥔산인전君山银针은 생김새가 바이하오인전白毫银针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당나라 때 뤼차绿茶로 생산이 시작되어 황차黃茶로 변해 청나라 때 황제에게 진상되던 명차名茶로 마오쩌둥이 즐긴 차茶리거 하네요.
 
-훠산황야霍山黄芽(곽산황아)

훠산황야
훠산황야

안휘성 훠산霍山에서 생산되는 훠산황야霍山黄芽는 당나라 시기 때부터 내려져 온 차茶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훠산황야霍山黄芽는 사라질 뻔했으나 현대 중국 정부의 보호로 살아나 지금 중국의 명차名茶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훠산황야霍山黄芽는 누런 빛깔에 삶은 밤 향이 나고 달콤한 향이 일품이라고 합니다.
 
 
 

  • 중국을 대표하는 홍차红茶
홍차
홍차

차茶의 원조국 중국보다 이란, 튀르키예, 인도, 스리랑카, 러시아, 영국 등 해외에서 더 큰 사랑을 받고 있는 홍차红茶는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중화를 지배하려고 세력을 확장하던 시절 푸젠성 주민들이 청나라 군대를 피해 차茶를 숨기다 우연히 향과 맛이 그윽한 차茶를 만들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홍차红茶는 푸젠성 해상 무역로를 따라 중국 밖으로 퍼졌고, 영국과 이란, 러시아에서 큰 사랑을 받아 전세계로 퍼진 차茶입니다.
 
-정산샤오종正山小種(정산 소종)

정산샤오종
정산샤오종

푸젠성 우이산武夷山 인근에서 생산하는 정산샤오종正山小種은 찻잎을 건조한 후 백송(흰 소나무)를 장작으로 태워 연기를 쐬는 작업을 거치기에 강한 훈연향이 일품인 홍차红茶입니다. 덕분에 한약재 같은 깊은 향이 맴돌고 있어 기름진 중국 음식에 잘 어울리는 차茶입니다. 문제는 이 깊은 훈연향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인위적으로 훈연향을 첨가하는데 이런 차茶는 리산샤오종立山小種이라고 부릅니다. 이 리산샤오종立山小種이 전세계로 퍼져 이란, 러시아, 영국, 튀르키예, 인도에서 사랑받고 있습니다.
 
-치먼홍차祁門红茶(기문 홍차)

치먼홍차
치먼홍차

안휘성 황산黃山 인근 치먼祁門 고장은 세계적인 홍차 재배지입니다. 치먼홍차祁門红茶는 정산샤오종正山小種보다 훈연 향이 적고 가벼워 자주 마시는 홍차红茶입니다. 주로 타이완과 인도 아쌈, 스리랑카 지방에서 밀크티로 많이 만들어 먹는 홍차红茶라고 하네요.
 
 
 

  • 중국을 대표하는 헤이차黑茶
헤이차
헤이차

강한 훈연으로 붉은 빛깔을 띄는 홍차보다 더 높은 발효단계를 거친 차茶가 있습니다. 그 차茶는 미생물 발효를 이용해 찻잎을 완전히 검게 만드는 헤이차黑茶입니다. 헤이차黑茶는 몇년 간의 미생물 발효로 완성되는 차로 정확한 기원은 모르지만 일설에 의하면 당나라와 송나라 시기에 차마고도를 거쳐 무역하는 무역상들이 찻잎을 운송하다 비바람에 찻잎이 자연스럽게 발효되며 발견했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본격적인 헤이차黑茶는 명나라 때부터 유행했다고 하네요.
 
-윈난푸얼차云南普洱茶(운남 보이차)

윈난푸얼차
윈난푸얼차

한국에 보이차로 유명한 푸얼차普洱茶는 윈난 지방을 대표하는 차茶입니다. 그리고 헤이차黑茶의 대표가 윈난푸얼차云南普洱茶이고요. 윈난푸얼차云南普洱茶는 발효로 카페인이 많이 들어간 차茶로 고도가 높고 추운 날이 많은 히말라야 고도지방에서 사랑받는 차茶라고 하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