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3

다른 나라의 용과 비슷한 상상의 동물 사례 용龍을 알고 있는 문화권용龍은 고대 중국에서 처음 등장해 한자문화권 국가로 전파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용龍 원조국 답게 용龍을 선의 상징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베트남은 반랑 시대 때 중국 지배를 받으며 용龍을 받았고 낀 민족 스스로를 용龍의 자손이라고 부릅니다. 한국은 삼국시대 때 도교와 함께 용龍을 받았으며 대신 이무기 전설을 가지고 있어 천년묵은 이무기가 여의주를 얻으면 용龍이 된다는 전설을 창조했습니다. 일본은 용龍을 불교와 함께 받아들여 가장 강력한 동물이자 신수로 여겼습니다.재미있는 점은 한자문화권 외에도 수많은 문화에 용龍이 전해졌다는 점입니다. 먼저 몽골 유목민과 시베리아 원주민은 한자 문화권이 아님에도 중국 문화를 끝없이 받아 용龍 개념을 알고 있으며 지도자들은 스스로를 독수리의 후손이자 늑.. 2023. 9. 18.
용의 원형 후보 동물에 대한 고찰 실존하던 동물이 와전되어 환상종이 되다몇몇 생명체는 실존하되 그 형태가 달라 후대나 다른 지역에 이상한 모습으로 변형되어 전해지기도 합니다. 일각수가 그 예시로 인도코뿔소 형태가 와전된 것이 유니콘이 되죠. 코뿔소가 유럽에 일각수으로 변한 이유는 유럽인들의 오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유럽에 코뿔소가 알려진 계기는 로마제국의 해군 사령관 가이우스 플리니우스가 남긴 박물지 기록입니다. 박물지에서 인도에 서식하는 인도코뿔소를 기록했는데 "몸통은 말과 같고 머리는 사슴과 비슷하며, 코끼리의 발과 멧돼지의 꼬리를 가지고 있고, 굵은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이마 한복판에는 한개의 검은 뿔이 돋아있다"라고 기록했습니다.문제는 로마제국 이후 코끼리가 멸종해 유럽인들은 코끼리의 발이 어떻게 생겼는지 몰랐습니다. 그래서 모.. 2023. 9. 13.
신화와 동물: 뱀, 창조와 지혜 허물 탈피 파충류는 피부를 보호하고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늘로 피부를 덮어 생존을 유지하는 동물입니다. 하지만 비늘로 피부를 덮는 것에는 한가지 치명적인 문제가 있는데 단단한 단백질 덩어리인 비늘은 몸 외부를 단단하게 고정해 성장을 억제합니다. 그래서 파충류는 단단한 비늘을 제거하고 수분이 가득 차 언제든지 변형되고 팽창할 수 있는 새로운 비늘을 만든 후 탈피를 해 단단한 비늘에서 벗어나 몸을 키웁니다. 파충류는 성장기 동안 자주 탈피를 하며 성장기가 끝난 후에도 영양분이 충분히 있으면 언제든지 탈피를 하며 계속 성장이 가능합니다. 이는 포유류는 할 수 없는 일이며 포유류인 인간이 보기에 신기한 현상입니다. 파충류들은 주기적으로 탈피를 하는데 거북이와 악어, 도마뱀은 탈피하는 모습이 잘 .. 2023. 3.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