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한타바이러스Hantavirus

분야바이러스의 일종인 한타바이러스Hantavirus는 송진원 교수팀이 2009년 대한민국 DMZ에서 발견된 바이러스로 유명합니다. 한타바이러스는 다른 분야바이러스처럼 출혈열을 동반하며 국내에는 신증후군출혈열, 해외에는 한국형출혈열로 알려진 질병을 유발합니다.
- 한타바이러스 감염경로

분야바이러스의 주 숙주는 쥐로 한타바이러스 역시 쥐로부터 인간에게로 감염되는 바이러스입니다. 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쥐의 분변이나 소변, 타액으로 한타바이러스가 배출되며 그 한타바이러스가 건조해진 상태로 공기 중을 유영하다 사람의 기관지에 침입해 감염됩니다.

한타바이러스를 매게하는 쥐는 등줄쥐, 집쥐, 땃쥐 등이며 야생의 쥐들이 한타바이러스를 매게합니다. DMZ에 서식하는 야생 쥐 뿐만 아니라 농촌의 집쥐 등도 한타바이러스 매게체가 되어 농촌에 한타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에서는 한타바이러스 예방접종과 치료제를 보유해 한타바이러스 치료체계를 구축했습니다.
- 한타바이러스 증상

한타바이러스는 소변으로 전파를 선호하는 바이러스입니다. 그래서 바이러스 감염 후 잠복기가 지나면 발열과 두통에 눈 충혈, 피부홍반이 나타나며 핍뇨기 때 소변량이 감소하며 신부전이 나타나다 이뇨기 때 소변이 대량으로 배설되며 탈수증상이 나타납니다. 국내에 한타바이러스 치료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있지만 치사율 35%가 넘는 치명적인 병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생물 > 바이러스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러스학: 레트로바이러스] HIV (70) | 2024.02.07 |
---|---|
[바이러스학: 레트로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36) | 2024.02.07 |
[바이러스학: 분야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36) | 2024.02.06 |
[바이러스학: 분야바이러스] 분야바이러스 (73) | 2024.02.05 |
[바이러스학: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44) | 2024.02.05 |
댓글